사도 바울과 그리스도인의 삶 -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윤리적, 선교적 함의
스캇 맥나이트.조지프 모디카 지음, 최현만 옮김 / 에클레시아북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도바울과 그리스도인의 삶>은 제목에서 말해주듯 삶의 실천에 대한 논의다. 사도바울이 강조한 성도의 삶에 대한 이야기, 즉 윤리학적 담론이다. 특이점이 있다면 바울의 새 관점으로 접근했다는 점이다. 바울에 관한 새 관점 논의는 1세기 유대교의 입장에서 성경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다. 새 관점이라 부르는 이유는 이전 종교개혁 전통과 구분되는 새로운 관점인 까닭이다. 1세기 유대교의 관점에서 볼 때, 유대교는 율법으로 구원받는 종교가 아니었다. 구원은 하나님과의 언약관계 속에 있었고 어떻게 살 것인가를 규정한 것이 율법이라는 주장이다.

 

바울의 옛 관점, 즉 종교개혁의 전통에서는 유대교를 행위에 기초한 율법주의 규정했다. 율법의 행위로 의롭다함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는다는 이신칭의의 복음을 굳게 세웠다. 하지만 새 관점에서 볼 때 바울이 싸운 옛 관점의 유대교는 1세기에 없었다는 것이다. 논의의 여지가 많다. 왜냐하면 바울의 서신들에서 율법주의와 씨름하는 바울의 논증이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당시 유대교 안에는 율법주의뿐 아니라 언약의 성취를 교회공동체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중첩의 시기였다. 둘 모두 공존하는 시기였고 서서히 분리가 일어나는 때였다.

 

본서는 바울의 새 관점에서 그리스도의 삶을 서신들에게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바울의 새 관점이 성도의 삶과 특별히 교회 공동체에 지니는 실천적인 함의를 제공한다. 바울신학의 석학들인 제임스 던, 톰 라이트, 브루스 롱테커, 스캇 맥나이트와 린 코힉, 패트릭 미첼, 티머시 곰비스, 타라 베스 리치까지 참여했다. 본서는 은혜와 칭의의 관점으로 읽어내었던 윤리적 시선에 더해서 새 관점으로 보는 바울신학의 교회와 선교의 실천적인 풍성함을 더해 줄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