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성 그리고 역사
진동원 지음, 최수경 외 옮김 / 박이정 / 2005년 9월
평점 :
절판


잘 쓰여진 논문같은 책이다.
중국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철저히 문헌을 바탕으로 해석하고 논평을 다는 것에 충실한다.
방대한 양이지만 주목할 만한 감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은 여성이어서가 아니라 각종 힘(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서의)으로부터
배제, 소외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그 소외를 가중화 하면서 억압받은 것이다.
다시 말해 힘을 가진 여성은 성적으로 억압 받지도, 시대적 교리에 순종하지도 않았다.
동시대라도 모계 중심의 부족에서는 처녀성을 일부러 파괴하는 의식을 치뤘고
중국 황실의 발언권 강한 공주는 남첩을 여러 명 두었다.
권력이 높은 가문의 아내는 그보다 못한 남편을 업신여기기도 했다.

물리적 힘이 권력화 될 수 있음을 깨달은 고대 남성들이 프로게스테론과 돌방망이를 내세워
약탈혼을 시작했고, 그로부터 고착화된 사회 제도와 사상들은 더욱 더 여성들을 압살했다.

둘째, 여자가 여자이기에 천성적으로 물질적으로 불완전하고 우둔하다는 주장은
그 논리의 취약성으로 인해 끊임없이 처벌이나 회유로써 교육하고 세뇌시켜야 했다.
갈릴레오도 핍박을 받았지만 지동설의 근거가 제시되고 정설을 받아들여지기까지
이천년씩이나 걸린 것은 아니다.
물론 여성의 하등화 작업은 이천년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음에도 실현되지 못했지만.

셋째, 심한 박해 속에서 오랜 시간이 걸려 현재까지 이룩한 여성 평등권은
여기가 종착역 인가 하는 것이다.
남편을 설겆이에서 해방시켜 준다는 식기세척지 CF가 나온 지금을 두고
나중에 이천년 후 또는 이백년 후 또는 이십년이나 이년 후에라도
"그때는 하이힐이라는 걸 신었다더군. 나참 이게 말이냐 되냐구" 하듯이
나중에 자조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있는가.

역사는 진화한다.
더디가도, 돌아가도 진보라는 중력을 이길 수는 없다.

(2008.04.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