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복희씨
박완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작가.
그러니까 연차가 '쎈' 대작가에 '여류'라는 타이틀까지 단단히 붙은
박완서의 글은 일부러 안 읽있다가 일부러 찾게 된 첫 독서였다.

작년 <바리데기>를 읽고 난 후, 최근 <소설 사마천>을 읽은 후
얕은 캐릭터와 짧은 스펙트럼, 농밀치 못한 기승전결을 가진
청년작품들에 대한 내심 업수이 여김 같은 마음으로
한국사회가 여류대작가라 정형적 평을 기꺼이 몰아다주는
박완서를 읽어보기로 작정한 것이다.

"작가 자신이 살면서 진즉에 겪었거나 들었던 내용이니까
이토록 생생하게 쓸 수 있었던 거겠지"
하고 트집을 잡고 싶을만큼 이야기의 소재와 캐릭터는
다양하고 입체적이고 리얼하고 공감대를 갖고 있다.

소설집이 아니라 극적인 글쓰기를 좋아하는 기자 손에 엮어진
기사나 다큐멘터리처럼 생생하기 그지없다.
책 끄트머리, 해설자가 언급키도 한 '노년문학의 포용력',
그 성찰, 그 깊은 서사력에 경외할 따름이다.

다만 문장 짓는 기술상에 있어 가볍고 유유히 읽히는 것은 아니어서
한 두 페이지에 한 번쯤은 자세를 고쳐 앉은 뒤 구와 절 등을 분간하며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점은 있다.

특히 사람의 말 인용을 옮겨내는 데는 현학의 매무새로 다듬어져 있어
마치 중소기업 TV CF에 사장이 나와 읊는 대사처럼 부자연스럽달까.
이인칭 시점 안에서 생생히 살아있는 '그'나 '너'로 받아들이기에는
편안히 일체화가 되지 않아 곤혹스런 감은 분명히 있다.

그것이 소설 속 '그'나 '너'의 리얼한 성찰의 깊이를
나 스스로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어쩔 수 없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