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를 준비하는 중학생 공부법
이해웅 지음 / 타임북스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시절은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시간이다. 
얼마만큼 학창시절을 알차게 보냈는지  그 결과물이 대학이라는 문턱이다.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 준비해야 할 것들이  참 많다. 
그 준비를  위해서 엄마들이 감독자, 네비게이션, 발빠른 정보가 아이들에게 필요하다.
여기 저기  강연장을 돌아다니지 않아도 이 책에서  좋은 정보를 많이 얻었다.

중학생 관리법 자기주도적인 아이로 키우기, 엄마가 짜준 스케줄에 따라 움직이는것 보다 실패를 하더라도  초등학교 시절 부터 학생 스스로 공부하는 스케줄을 짜서 실패를 하면 실패의 원인을 찾아서 나만의 공부법을 찾아보자.
자녀들의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다고 눈 앞에 성적에 연연하지 말고 인내심을 갖고 자녀가 더 열심히 하도록 칭찬과 격려가 필요하다.
우리 자녀가  반과, 학교에서 공부 잘 한다고 안심하지 말고  서울과 같은 전국을 상대로 하는 경쟁력있는 자녀로 키워야하는 정확한 판단기준이 있어야한다.
자녀가 어떤 분야에 적성이 맞는지 관심있게 관찰해서 중 1,2때부터 이과 문과를 선택해서 진로를 선택하여야한다.
 학교 생활기록부도 잘 챙겨보자. 
첫째, 수상경력으로느 교내상과 교외상이있다. 교내상인경우는 교장선생님과재단 이사장이 준상이고 교외상은 교육감상, 국무총리상 대통령상과 같이 학교 바깥에서 받은 상들이 많으면 좋다.  학교 임원을 해서 리더쉽을 경험했는지도 중요하다.
둘째,  봉사도 남들이 다 하는 형식적인 봉사가 아닌 내 진로에 맞는 봉사를 찾아서 하자.
우리 아이들이 흔히하는 봉사가 환경 정화 활동이다. 
이런 것들은 학교에서 동원해서 하기 때문에 별 의미가 없다. 그러기 보다는 전공과 관련된 봉사활동이 좋은 평가를 받는다.
세째,   독서 노트를 만들거나 일기를 꾸준히 쓰는 것도 도움이 된다.
 책을 읽을 때도 다 읽은 뒤 독후감을 쓰는 것이 아니고 좋은 구절이 나오면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자.  요즘 아이들은 메모하는 능력이 거의 없다, 이런 요약이나 메모 능력은 논술과도 연결되고 언어에도 도움이 된다.
네째, 담임 선생님 평가란이 있다.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학교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원 핑계되고 학교 생활에 소홀하면 좋은 평가를 주지 않을 것이다. 

 자녀들이 좋은 대학 들어 가는 것 보다 자기 취미와 적성에 맞 는 직업을 구하기 위한  대학에 들어가야 한다. 그래야 즐겁게 오래 도록 자기 일을 할 것이다.
요즘 좋은 대학 나와도 취직 못하는 사람들이 많치 않은가 그런 사람 보다는 일을 즐기는 자녀로 만들기 위해서는 자녀가  적성이 뭔지 잘 찾아 주는게 부모의 몫이 아니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