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서 프랑스 현대문학선 1
르 끌레지오 지음, 정혜숙 옮김 / 세계사 / 1989년 3월
평점 :
품절


이 소설의 말들이 낯선 것은, 그것이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것 같은데도 무언가를 말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아니 그 이상일지도 모른다. 그 속에서 어떤 깊이가 말을 하는 것 같고 어느 한순간만 고정시킬수가 있다면 자기에게 가장 가까운 것일 수있는 무엇을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모순도 없었고 느낄 쓰라림도 수치도 증오도 없었다. 구원도 위안도 없었다. 나 스스로의 가장 깊은 곳에서 내가 받았던 것, 내가 판단 할 수 없었던 이 기적적인 선물은 영원에서 영원으로 가는 운동이었다.'(p57)

이 소설에 대해 단순히 역자의 말처럼 관념에 대한 우위를 말하는 것 만으론 족하지 않다. 소설작가의 글에 대한 원한과 말의 죽음에 대한 글쓰기. 지난 세계를 풍미한 말들이 없어지는 것이 우리 세계에 어울리는 작가의 발상이 아닌가 말이다.

말이 사라지고, 결코 휴식은 아닌, 확연한 침묵이 놀라움처럼 우리에게 가져다 주는 에 대한 독백들. 그 침묵이 정말 우리에게 주어진다면 그 속에 다시 인간들이 담을 것들은 태고부터 있어온 수많은 유적들이 아닐까...

'내 속에는 언제나 죽어버린 인간들이 있었다. 물질로 되돌아간 사고, 싸늘하게 식어서 대지의 지층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육체, 허물어진 이름, 해체된 행동들........' (p146)

점점 더 새로운 글쓰기에 대해 얘기되어질 때 덧붙여지는 많은 방법들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 소용없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의 내면성과 목소리와 말의 모습을 이렇게 조화스럽게 표현하는 작가에게 그런 방법들의 구분을 들이대는 것은 하나의 폭력이다.

이 소설에서 주체는 말이다. 아니면 글쓰기나 기술로 번역되는 에크뤼티르가 된다. 결코 인간은 아니다.

친구가 자랑스레 들고 다니던 끌레지오의 절판된 책인 <눈>이 생각난다. 주말에 그거나 빌려 달라고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