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에프라임 키숀 지음, 반성완 옮김 / 디자인하우스 / 1996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난해한 척하는 현대미술에 대한 독설을 담고 있다. 하지만 그 독설이 가벼이 느껴지는 것은 작가의 미술에 대한 안목이 깊지 않기 때문이다. 항상 그가 탓하는 것은 어느 오브제의 재료가 시장이나 가구점에서 사면 얼마나 하는가 하는 장사꾼적 시각이다.

이 책을 읽고 평론계의 서로 치켜 세워주기를 생각해 본다. 촌평이라는 명목이든 비평이라든 명목이든 사실 말만들어 의미 부여하기가 다인 그런 글쓰기들.

그런 '말만들기'의 예를 이 책에서 정말 재미있게 지적하는 예 하나. 다음의 말을 읽고 무엇을 말하는지 생각해 보라.

1. '태아에 근접하는 파괴 계수의 폭발을 예고하는 기하학적이고 몽유병자적인 의식의 형태'
2. '멜로디의 과잉에 대한 시각적 거리로서 스케치된 흔들리는 진테제'

답 : 1. 부풀어 오른 콘돔
2. 뒷면에 작가의 사인이 있는 텅 빈 캠퍼스

1년 전에 클레의 그림을 담은 독일의 바우하우스에 대한 비디오를 구해 무슨 말인지도 모르며 그 그림에 반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 작가가 비판하는 대상은 클레나 르네의 그림이 아니라 그 아류작일 뿐.

이 작가는 그 비평능력에 대해 많은 의심을 받았나 보다. 뒷장에 그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몇가지 평을 하는데 교과서에 나오는 글하나를 인용하고 여기에 맞지 않으니 잘못된 그림이다 라는 전개는 글을 끝까지 읽게 해주는 코미디다.

좋은 그림책을 하나 가지는 가치는 있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