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론입문 창비신서 74
테리 이글턴 지음, 김명환, 장남수, 정남영 옮김 / 창비 / 198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치 고향을 내려가는 것처럼 언제나 어느 이론에 대해 의문이 있을 때나 글읽기에 대한 식상이 들 때 언제나 이 책을 읽는다. 참으로 방만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흘러 넘기는 법 없이 어디서나 정확하게 여러 이론들이 소개되어짐에 신선한 충격을 받고 자신을 되돌아보게 한다.

이 책에서는 19세기에서부터 들어와 발흥된 이론들 즉 해석학이나 현상학, 형식주의, 수용이론, 정신분석학, 구조주의와 레이몬드 윌리암즈의 최신 이론들을 오해되어짐이나 비약없이 차분히 소개 하고 있다.

문학이 신비평이나 구조주의 비평에서와 같이 그 고유의 영역을 갖기 위해 노력했다 할지라고 언제나 사회와 역사속의 관련속에 존재하고 있었고, 문학이론이란 영역은 궁극적으로 정치적 비평의 성격을 띠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이 책의 장점을 볼 수가 있는데, 예를 들어 기호학이란 부분에 대해 이글턴은 단편적으로 소쉬르에서 부터 기원한 것이나 기표나 기의의 흐름, 기호학적 훈련이라는 단순한 롤랑바르트의에 대한 개론에 머물지 않는다. 그들의 후계자로서 크리스테바나 그레마스 등이 가지는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의미탐구의 고리들을 설명하고 여성운동에 대해서도 문학이론의 대상으로서 진지한 숙고를 요구하는 것이다.

단순히 문학에만 한정되지 않고 철학, 사회학, 심리학에 결쳐진 이글턴의 해설과 비판은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와 해방이라는 실천적 과제의 문제를 다시금 생각하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