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콘서트 - 복잡한 세상을 지배하는 경영학의 힘
장영재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몰랐었다. 아니 실감하지 못했었다.
경영에 과학이 이렇게 깊숙이 침투되어 있는지...

이 책 이전에는 경영학을 시험만을 위해 공부해서인지 이렇게 실질적으로 와 닿지 않았었다. 나만 몰랐지, 실제로 경영은 과학을 빼고는 생각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하여간 알아야 뭐라도 할 수 있는 거야.

이 책은 나온지 꽤 시간이 지났지만(2010년 출간) 오늘의 경영현장을 잘 설명해 주는 듯 하다.

책의 내용을 내 마음대로 간략히 정리하면,
- 수익경영 : 소비자가 느끼는 가치가 다르면 가격도 다르게 정한다.
- 저마다 다른 항공권 요금 : 다이렉트 노선보다 경유노선이 거리는 더 멀지만 더 싸다는 것.
- 초과예약을 받는 항공사 : 비행기 좌석보다 많이 예약받아도 문제 없이 처리하는 항공사.
- 호텔객실 예약의 현실 : 토요일 밤 하루 예약은 방이 없지만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묵겠다고 하면 신기하게 방이 생긴다는 것.^^;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CRM : 우리가 수없이 만드는 멤버십카드의 쓰임새, 잡지나 음료수 부스는 항상 계산대 앞에 있는 이유. -> 마케팅은 감이 아니라 데이터다.
- 포털사이트 열 때마다 열리는 광고창의 비밀 : 쿠키(인터넷 접속 정보 저장 공간) -> 내 쿠키는 내가 인터넷을 열때마다 누군가 보고 있다. T.T.
- 내가 사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아는 인터넷 기업 들 : 고객 정보의 관리 및 해석, 활용. 이걸 잘하는 기업이 구글 및 아마존, 넷플릭스 등임.
- 집단지성의 힘 : 인터넷, 네트워크
- 카지노는 돈을 벌 수 밖에 없는 구조 : 우리는 오늘 따도 내일 잃는다.
- 삼성전자의 공정관리기술 개선의 역사 : 너무 열심히 일해서 문제가 생긴 경우.
- 논다고 무조건 자르면 더 큰일이 발생한다. : 어느 정도의 버퍼가 있어야 조직 및 시스템은 운영된다. -> 개미 집단에도 노는 20%가 항상 존재한다더라.
- 공급사슬망의 채찍효과 : 최종 소비자의 수요정보를 공유하지 않으면 공급사슬망의 각 주체들은 최종 소비자로부터 멀어질 수록 변동성이 증가한다. -> 요즘은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제대로 된 공급사슬망 관리를 통해 각 주체들의 변동성을 줄이고 있다.
- 선형계획법 : 이게 전쟁을 통해 개발되고 현재는 경영에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정보통신 및 컴퓨터기술의 발달로 좀 더 고레벨의 업무에 활용하고 있음. 이걸 얼마나 잘 구현하느냐가 기업 경쟁력을 좌우한다.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 이제 경영은 과학이다. 경험과 감에 의존한 주먹구구식 경영에서 벗어나 과학과 데이터에 기초한 과학경영이 필요하다. 이젠 시스템이 필요한 업무를 필요한 시기에 제시해 준다. 이러한 시스템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적절히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경쟁력이 달라진다.

위의 책 내용은 현재 대기업 들과 인터넷 기업 및 조금 앞서는 중소기업들에게 유용한 내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당 책 내용은 경영과학 내용을 소개하는 차원이고, 각각의 파트를 깊이있게 알고자 한다면 다른 전문서적을 참고하거나, 스스로의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5장에는 보스턴의 파라마운트 레스토랑 이야기가 나오는데, 적은 수의 테이블로도 많은 사람의 주문을 무리없이 소화하는 내용이다. 여기에도 리틀의 법칙이라는 경영과학 내용이 나오는데, 식당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참고할 만 하다. 

하여간 재미있는 사례들이 많이 나오고 이를 이용해 경영과학 내용을 잘 설명하고 있는 훌륭한 책임에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 전쟁 - 권력은 왜 역사를 장악하려 하는가?
심용환 지음 / 생각정원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역사를 왜곡하여 자기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서술하고 싶은 사람들이 추진하고 있는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저자의 논리정연한 주장을 만날 수 있다.

일독 후 짧은 소감은,
뉴라이트 학자들이 주장하는 바는 한마디로,
˝견강부회˝일 뿐이다.

많이 배우고 똑똑한 사람들이 자기출세를 위해 ˝곡학아세˝ 하는 모습에 실소를 금치 못하겠다.

요즘들어 점점 크게 느끼는데,
공부 많이하고 똑똑한 사람들에 대한 존경심이 점점 사라진다.
많이 공부한 놈 일수록 나쁜 놈일 확률이 높은 거 아닌가 하는 나쁜 생각이 점점 확고해 간다.

공부 많이 해서 높은 직위에 올라 힘 없고 돈 없는 사람들 괴롭힐 거면 공부는 왜 하는건가?

하여간 알아야 안 속고, 똑똑한 놈이 하는 말일수록 의심을 더 해봐야 돼.

공자도 교언영색을 아주 싫어하셨다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왠 이상한 사람이 이리도 많이 등장하는지...
제대로 된 사람은 언니뿐인 듯...
하여간 이상한 사람들의 이상한 이야기...

그렇지만 현실에도 이렇게 자기만 아는 사람들이 많은 걸 보면 소설 속 인물들이 결코 초현실적이진 않다고 볼 수 있음.

특히, 늙은 아버지의 폭력...
자기만 옳고 자기는 항상 정의를 행사한다고 철썩같이 믿고 있으니 다름 사람들은 특히 내 자식은 나를 무조건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는 현실의 많은 까스통 할배들이 겹쳐보임...

오랜만에 읽어본 한국소설...

나를 한번 돌아보게 됨...
작품 때문에 불륜을 저지르고, 자식까지 내팽겨치는 소설속의 예술가가 되지 않기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