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글쓰기를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 매일 쓰는 사람 정지우의 쓰는 법, 쓰는 생활
정지우 지음 / 문예출판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해전 우연히 정지우 작가가 쓴 ‘인연’에 관한 짧은 글을 읽은 적이 있다.

당시 나는 SNS를 하지 않아서 소위 SNS 인싸였던 작가님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었는데,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언젠가는 반드시 누군가에게 닿고 마는 유리병 속 편지처럼..’ 그렇게 그 글과 만나게 되었다.

지난 간 인연에 대해 정리되지 않는 감정과 생각들로 머리가 어지러웠던 바로 그 절묘한 타이밍에 말이다!

물론 글 한 편이 모든 고민을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글을 읽으며 그동안 미처 깨닫지 못했던 내 솔직한 감정들을 제대로 들여다볼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어지럽게 머릿속을 떠다니는 생각들도 차분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결론을 말하자면 나는 더 이상 그 문제 안에서 허우적거리지 않게 되었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로, 나 자신이 더는 그것을 문제로 인식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한 편의 글을 통해 전해진 공감과 위로는 생각보다 더 큰 힘이 되었고,

문득 이 글을 쓴 사람이 궁금해졌다.

그렇게 ‘정지우’라는 이름을 기억해 두었다.

그리고,

신작 에세이 [우리는 글쓰기를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를 통해 다시 작가님을 만나게 되었다.

하지만 책 어디에도 좋은 글을 쓰기 위한 기술적인 방법에 관한 내용들은 없었다.

이 책은 글을 쓰는 ‘방법’ 이 아닌 글을 쓰는.. 아니, 써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줄곧 이야기한다.

더불어 글쓰기만의 기능과 효용, 그리고 글쓰기를 통해 이뤄 낼 수 있는 가치에 이르기까지 ……

책은 그야말로 글을 쓰는 행위, 전반에 걸친 작가의 진지한 고찰들로 가득 차 있다.

그런데 책에 실린 짧은 글들을 한 편씩 읽다 보면 또 이런 생각이 든다.

이게 과연 ‘글쓰기’에 관한 책일까?

제목 ‘우리는 글쓰기를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에서

‘글쓰기’는 우리가 살면서 마주하고 감당해야 하는 그 모든 것들로 바꾸어 써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저자는 어쩌면 [우리는 ‘인생’을 … ‘세상’을 혹은 ‘사랑’을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라고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글쓰기를 통해 매 순간 자신을 돌아 볼 수 있고 좀 더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감 없이 토해낸 자신의 글 속에서 숨겨진 욕망들을 알아차리거나 일그러진 욕망들을 걸러낼 수 있으며, 나를 파괴하는 감정의 응어리를 풀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다 보면, 나는 나와 더 가까워지고 좀 더 잘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저절로 하게 된다.

마음의 치유라든지, 삶을 살아내는 힘이라든지, 세상과의 화해 가능성 같은 것은 상당 부분 ’구술’과 관련되어 있다. 대개 자신의 이야기를 어렵지 않게, 조리 있고 정확하게, 의연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은 삶과 화해를 이루어간다. 그러나 어떤 이야기를 하면서 화를 내고, 울고, 더 이상 말하지 못한 채 입을 닫아버리고, 신경증적인 반응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그 삶에는 아직 제대로 말해져야만 하는 게 더 남아 있다는 뜻일 것이다. 나아가 자기 삶의 상처들을 어느덧 웃으며 말하고, 그 위에 유머를 더하고, 하나의 서사로서 부드럽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되면, 그는 온전히 살아가고 있는 것이라고 봐도 될 듯하다. 그러니 사람은 계속 말해야 하고, 사람에게는 말할 창구가 필요하다. p.97

물론 구술은 백지 위에서 한 층 더 자유로울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한 개인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