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링의 13소녀
옌거링 지음, 김이경 옮김 / 뿔(웅진)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난징대학살 : 1937년 12월∼1938년 1월 당시 중국의 수도 난징과 그 주변에서 일본의 중지파견군 사령관 마쓰이 이와네[松井石根] 휘하의 일본군이 자행한 중국인 포로·일반시민 대학살 사건이다  < 네이버 백과사전 中 >

 
'난징대학살'이라는 이야기는 익히 알고 있었으나 자세한 전말은 알지못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난징대학살에 대한 검색을 해보았는데.. 비록 우리나라에서 자행된 일은 아니었지만 일제강점기라는 아픈 역사를 지닌탓에 남의 일 같지 않게 느껴진다. 물론 우리나라도 그에 못지 않은 만행을 겪긴 했어도.. 난징대학살때 희생된 중국인들은 당시 우리나라 전체 인구와 맞먹는다고 하니 그들 나름의 또다른 분노를 갖는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당시 일본군이 사람들을 죽이는 방법은 반인륜적으로 잔인하기도 하였고, 워낙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들을 학살했기에 강은 시체반 물반이었으며, 길거리마다 시체가 새까맣게 깔려 있을 정도로 그 참혹함은 이루 말할수 없다.
 
78149.jpg
 
이 소설을 읽기 전에 '사라의 열쇠'라는 프랑스 소설을 읽었다. 그 이야기는 비슷한 시기의 '벨로드롬 디베르 일제 검거 사건(1942년)'을 배경으로 한다. 유대계 프랑스인들을 나치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 정부가 검거하여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보내 죽게했던 사건이다. 그속에 얽힌 한 소녀의 슬픈 이야기를 읽으면서 참 마음이 아팠고, 전쟁으로 인한 무고한 희생이 무척이나 안타깝게 느껴졌다. 우연일지는 모르겠지만 곧이어 읽은 이 '진링의 13소녀'라는 책이 조금 앞서기는 했지만 비슷한 시기에 일어났던 비극적인 역사속 아픔을 다시한번 생각하게끔 한다.
 

 SDC10161.JPG

SDC10162.JPG

 

처음에는 미처 몰랐지만 책의 표지를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붉은 나비가 있다. 그저 떨어지는 꽃잎으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부스러지는 저 붉은 나비를 보면 이 책을 읽지 않아도 이 책의 내용을 조금은 짐작할수도 있지 않을런지...

 

여기 난징대학살이 벌어지던 그곳에 미처 피난을 가지 못하고 성당에 남은 16명의 소녀가 있다. 이 성당에는 여학생들을 보호하는 두 명의 외국인 신부과 중국인 고용인들이 있다. 그리고 일본군을 피해 안전해 보이는 성당으로 14명의 홍등가 기녀들이 피난을 오게된다. 일본군에 교묘한 속임수에 속아 투항했다가 잔혹하게 살상되었던 중국군사들 사이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군인 3명이 다시 성당으로 스며들면서 이제 더이상 성당은 안전지대라 할수가 없게된다. 그러한 가운데 딸을 구하러 온 한 아버지와 함께 3명의 소녀가 지옥같던 난징을 탈출한다. 성당을 나섰다가 길을 잃어 돌아오지 못했던 어린 기녀가 무참히 일본군에게 짓밟히고 고통스럽게 세상을 떠난다. 그토록 여린 소녀들을 보호하려던 신부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저 폭풍만 같던 전쟁이 지나가기만을 바랬던 이들의 바람과는 달리 일본군이 잔인하게도 소녀들에게 음흉한 손길을 내밀게 되자, 그들의 초대가 결코 순탄하지 않을거란 것을 알면서도 13명의 남은 기녀들은 소녀들과 운명을 바꾸게 된다.

 

제목 없음.JPG

 

신분의 벽이 허물어져 가던 1930년대의 멍수쥐안은 천박하다며 자오위모를 비롯한 기녀들을 냉랭하게 대한다. 고귀하게 위선을 떨어도 어쨌든 너나 나나 이 광기 서린 전쟁속에서는 같은 처지일뿐이라고 자오위모의 행동은 말해준다. 이 잔혹한 전쟁속에서는 어떤 위치의 사람이건 똑같이 불행하기는 마찬가지일것이다. 이 난징대학살이나 나치의 유태인에 대한 비인륜적인 행동은 중국인들만의 것도 아니고, 유태인들만의 것도 아니고, 함께 살아가고 있는 인류 모두의 아픔일 것이다. 그렇기에 이 아픈 역사는 마치 그런일이 없었던 듯 덮어두기보다는 당시의 실상을 올바로 기억하며 다시는 반복하지 말아야 할것이다.

 

또한 중요한것은 우리가 이런 아픈 역사에 대처하는 자세가 아닐까 싶다. 독일은 당시 나치당의 비인륜적 행위를 인정하고 사죄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독일은 과거를 깨끗하게 씻고 다른 유럽국가들과 좋은 관계를 맺어가며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그들의 과거 이런 행동을 인정하지도 않고 정당화 하여 왜곡된 역사를 후대에 가르치고 있어 우리를 비롯한 당시 피해국가들과 마찰을 종종 빚고 있다. 이는 우리가 너무나도 과거에 연연해 하고 있기 때문일까? 단지 앞날은 생각하지 못하고 과거에 일에 너무 얽매여 관계를 껄끄럽게 한다고 치부하기엔 단 6주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희생된 30만명의 죽음이 너무나 가엽지 않은가?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아직도 세계 곳곳에서는 또다른 난징대학살이라는 인류의 잔혹함이 자행되고 있을 것이다. 그것이 꼭 '대학살'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내가 피해자가 되어 혹은 가해자가 되어 그렇게 인류의 아픈 역사가 씌여지고 있을것이다. 때문에 기억해야 한다. 누군가를 탓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더이상은 역사에 아픈 기억을 새기지 않도록 기억해야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