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전쟁
사라 치룰 지음, 박미화 옮김 / 엘도라도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해양자원을 둘러싼 세계의 숨막히는 각축전이 시작됐다!!

 

예전부터 망간단괴라는 말을 많이 들어왔었다. 우리에게 아주 유용한 자원이 될것이라고 들었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망간단괴뿐만 아니라 그 깊은 심해에는 메탄하이드레이트에서부터 많은 자원들을 품고있다. 마치 세상에 그 비밀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듯 아주 조심스럽게 말이다.

 

바다는 항상 육지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다. (생략) 빛이 도달하지 않는 깊은 곳에서 심해가 시작된다. 일부 학자들은 바람과 해수면의 온기에 영향을 받지 는 수심 200미터부터를 심해라고 말한다. 그러나 수심 800미터부터 심해가 시작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해양학자 대다수가 수심 1000미터부터를 심해로 규정하고 있다. 수심 1000미터부터는 정밀한 기계로도 태양광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수심 1000미터 이상의 해저지역들은 지구 표면의 60퍼센트를 덮고 있다. 그러므로 해저는 지구에서 가장 넓은 생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p. 23)

 

빛도 닿지 않은 심해, 인간이 지구상에서 정복하지 못한 마지막 지역!!!

얼마전 '싱크홀'이라는 책을 읽었다. 싱크홀이란 지반이 붕괴되어 생기는 수직 원통모양의 거대한 구멍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다에 생기면 '블루홀'이라고 한다. '블루홀'이라는 곳도 수심의 깊이를 가늠하기 어려운 곳이라고 들었다.

1.JPG

 

이 '블루홀'이라는 곳에 다이빙하는 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수심을 알지 못한다는 생각만으로도 꽤나 신비하기도 했지만 왠지 모를 두려움이 생기기도 했다. 그래서 심해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이 책을 읽을 때에 왠지 모를 신비감이 들었던 것 같았다.

 

2.JPG

 

물속은 수심 10미터를 내려갈때마다 기압이 1기압씩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깊이 들어가기란 그리 쉬운일이 아니다. 매우 높은 압력을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6,000미터까지 잠수할 수 있는 고성능 로봇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6,000미터는 우리가 도전할수 있는 한계라고 한다. 하지만 심해는 거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북태평양의 마리아나 해구는 수심 11,034미터로 세계에서 가장 깊은 곳으로 간주되고 있다고 한다.

 

SDC10005.JPG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미지의 심해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이유는 그곳에 무한하게 많이 매장되어 있는 천연자원때문이라고 할수 있겠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오래전부터 일본과 독도를 가지고 옥신각신 하고 있는 이유이다.(일본은 너무나도 뻔뻔한것 같다. 이미 여러 역사서에서도 오래전부터 우리 영토였던 곳을 안하무인격으로 시시탐탐 노리다니 말이다.)  비단 우리나라의 경우뿐만은 아니고 인접한 나라에서는 항상 빚어지고 있는 일이다. 바로 수많은 보물을 품고있는 바다를 차지하려 하는 조용하고도 날카로운 싸움일 것이다. 해양은 통상 해양법상 12해리 안쪽의 바다는 명백한 그나라의 영토인 것이다. 그리고 200해리까지는 배타적 경제수역이라고 한다.이 200해리 수역이 겹치는 경우 해당 국가들은 합의 하에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배타적 경제수역 밖에 있는 부분이 공해라고 하는 국제수역이다. 세계 바다의 65퍼센트는 그 누구에게도 속해 있지 않은 곳이다.

 

따라서 우리의 독도라든지 세계의 영토분쟁으로 칼날을 세우고 있는 곳은 바로 200해리 수역이 겹치는 배타적 경제수역에 있는 곳을 말한다. 0.2제곱킬로미터에 불과한 작은 돌섬을 가지고 이렇게 날카롭게 구는 것은 독도를 비롯한 그 인근에 있는 바다때문이다. 그리고 그 바다가 품고있는 수많은 자원때문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350해리까지 영유권을 주장할수 있기때문에 앞으로 공해는 많이 줄어들게 될것이며 아마도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보여지는 분쟁이 많은 나라들로 확장되지 않을까 싶다. 

 

세계 많은 나라들이 새로운 천연자원을 위해 끊임없이 심해를 연구하고 도전하고 있지만 딴으로는 누구를 위한 개발이고 연구인지 의심이 되기도 한다. '전세계가 노리는 60%의 주인 없는 바다'라는 제목에 살짝 심기가 불편해졌다. 과연 주인이라고 표현해도 되는 것인지 말이다. 그 곳에 살고 있는 수많은 생명체들을... 이름도 알지 못하는 그 곳에 이미 태고적부터 살아오고 있는 생물들은 과연 주인이 아닌지 말이다. 우리는 이제부터 자원을 위해 심해를 탐험하고 개발하려 하고 있지만 우리의 개발로 인해 서서히 사라져갈 생명체들은 그들의 터전을 잃는 것이 아닌지 말이다. 과연 누구를 위한 개발일까?

 

3.JPG

 

'블랙스모커'는 해저의 지각 속에서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질 때에 정출되는 고온의 수용액이 바닷물과 반응하여 검은 연기처럼 솟아오르는 것을 말한다. 블랙스모커가 발견된 장소와 가까운 곳에서는 해구들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깊은 블랙스모커의 발견으로 태양 없이도 생태계가 작동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신비로운 그 심해를 인간의 개발로 인해 파괴될수도 있다는 우려를 하지 않을수 없다. 일례로 멕시코만에서 있었던 심해 유전 유출사고가 바로 그것이라고 하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머리속에 펼쳐지는 심해의 영상(물론 블루홀의 영상을 봤기 때문에 생각할수 있었을꺼 같음)들에 심취해 있기도 했지만 해양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들을 보면서 솔직히 그냥 그 바다를 가만히 내버려두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가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만큼이나 심해는 그 비밀을 지켜내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만 같았다. 아마도 서문에서도 밝혔지만 사람들은 심해는 지구의 보물창고라 생각하겠지만 결코 심해는 그 보물창고를 쉽사리 열어줄것 같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