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먹었던 음식을 내가 먹네 걷는사람 에세이 8
홍명진 지음 / 걷는사람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고 있는 음식이라는건 아마도 어렸을적부터 먹던 엄마의 음식일테다. 태어나서 전부였던 세상이니 말이다. 아무래도 아빠보다는 엄마의 품속에서 많이 크니까. 아빠는 좀 반성해야겠다. 나도 어느정도 자라서 음식이라는 것을 하게 될때는 늘상 '맛있다'라는 기준보다는 '엄마가 해준 맛이랑 똑같다'라는 것을 사용한다. 엄마가 해주시던 맛이 날때면, 어찌나 흐뭇하던지 말이다. 아마도 엄마가 공식적으로 아프시기 전부터(병원진단) 슬슬 살림이 하기 싫다고 하셨고, 은근스레 내가 도맡게 되었다. 그래도 엄마의 맛을 쫓아서 하니 그리 그립다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었는데, 작년 내 생일즈음에는 엄마가 끓여주는 미역국이 그리도 먹고 싶었다. 아마도 마음속에 엄마의 음식은 더이상 기대하면 안된다는 결심이 서버린 탓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처음엔 음식에 관한 이야기인줄 알았다. 오직 음식에 관한... 하지만 음식과 관련된 지난날의 추억 이야기라는 것이 더 어울릴듯 싶다. 저자는 제주에서 태어났고, 먹고살기 위해 부모님은 영덕으로 이사를 왔다고 한다. 때문에 제주도에 대한 유년의 기억은 없고, 영덕에서의 기억이 오롯하다고 한다. 또한 어머니는 제주에서도 해녀로 사셨기에 영덕에서도 평생 물질을 하셨다고 한다. 아마도 바닷가에서 생활했기에 저자의 음식 이야기는 내겐 생소한 것들도 있다. 언젠가, 친구가 경상도 남자와 결혼을 했는데, 시댁에 가니 갈치로 국을 끓이더라는 말을 듣고 '도대체 왜???'라고 했던 적이 있다. 나는 줄곧 내륙지방의 도시에서만 살아서 그런지, 물고기는 탕으로 끓여먹는 것이지 국으로 먹는 것은 생소했다.(앗! 북어국이 있었군) 나중에 기회되면 한번 그 국에 생선이 들어간 것을 맛봐야겠다.


여기 언급된 음식에서는 알던 음식도 있지만 생소한 음식도 있다. 또 그 속에 있던 저자만의 기억들도 있다. 해녀일을 하던 엄마때문에 집안 살림은 물론 동생들을 돌봐주었던 큰언니, 하지만 젊은 나이에 세상을 등져버린 언니의 빛바랜 사진 한장으로만 추억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안타까웠다. 어린 나이에 잘 알지도 못하던 물곰탕에다 밀가루 반죽을 쭈욱 늘여 칼로 싹뚝싹뚝 잘라 넣어주던 큰언니의 모습이 자꾸만 희미해져가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이 책을 읽다보면 바다 내음이 난다. 바닷속에서 건져올린 해초와 먹거리들로 지금은 알지 못하는 그 시절의 엄마가 해주시던 먹거리들. 단순하게 엄마를 그리워하던 책인줄 알았는데, 어린시절의 추억과 함께 얽혀진 음식들의 이야기다. 물론 대부분은 엄마가 해주신거겠지만 말이다. 오늘같이 비가 오는 날에는 잔잔하게 읽기 딱 좋은 그런 산문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