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거들 - 검진과 치료를 위한 임상 소견과 연구의 통합
Cyriax 정형의학연구회 코어운동과학회 외 엮음 / 엘스비어코리아(Elsevier)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내가 아끼는 책이 한권 더 늘었다...번역본이 너무 늦게 나와 원서까지 있으니...그래도 후회는 없는 내용의 책....Diane Lee...몇 안되는 좋은 지식의 전달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oon 2020-12-18 0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책 추천해 주실 수 있을까요?
 
몸이 굳은 사람일수록 살이 빠지는 스트레칭 - 몸이 유연해지면 통증은 사라지고 체지방은 준다!
이와이 다카아키 지음, 이해수 옮김 / 좋은날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트레칭 책 여러권 가지고 있는데, 비슷한 페이지수로 나온 책중 내용 가장 Good! 생각보다 상세한 부분들이 꽤 많아 좋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 운동치료 테크닉
근골격계 물리치료 중재학 편찬위원회 지음 / 북앤에듀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당히 중상위 레벨의 내용들이 꽤 정리가 잘 되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ecognizing and Treating Breathing Disorders :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Paperback, 2 ed)
Chaitow, Leon / Elsevier Science Health Science div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론 chaitow의 책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든다, 그의 책 중 가장 최신정보를 가치있게 담기도 했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골은 그런 것이 아니다
마루야마 겐지 지음, 고재운 옮김 / 바다출판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독하고 유익하다.
모두 쓴소리 뿐인데 읽기가 힘들지 않다.
힐링이란 단어가 주는 위안에
되려 자기최면에 걸린 듯 살았던 세대들에게
이 책은 분명 얼굴에 확 끼얹는
냉수 한사발 쯤 되어줄 수 있겠다.
한국이 아닌 일본의 얘기인데
어찌 하나도 버릴 얘기가 없는 것인지 놀랍고
부정적이란 단어와 현실적이란 단어의
구분이 어렵다는 느낌도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생각해보는 단초가 될 것이다.
너와 나 구분없이 가족처럼 사는 시골의 이웃사촌.
이 상황을 작가 마루야마 겐지 식으로 정리해보면 이러하다.
한적하고 특별할 거 없는 한 시골 동네에
외지인 한명이 전입해 들어왔다.
그는 도시사람이었다.
마을사람들은 자신과 다른 환경에서 살던 그에게
신선한 텃밭 채소 등을 가지고 와
호기심이 섞인 반가움을 표시하고
이것저것 묻는다, 작가는 호구조사라나.
호구조사에 지병도 있는지까지 물을 경우마저 가정한다.
그렇게 시작된 처음의 신선함은
점차 외지인에겐 불편하고 사생활 침해로 다가온다.
그리고 반복되는 이웃들의 방문과
내집과 타인의 집 경계가 불분명해진 삶에
익숙해지기 보다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여기에 중요한 포인트 하나 더.
아무 변화거리가 없던 한적한 곳에
새로 들어온 외지인은 더할나위 없는
좋은 활력소가 현지인들에겐 되어 줄 수도 있지만
그 활력소가 된 외지인은 자신의 상황을
그렇게까진 인지하기 힘들다고 얘기해 준다.
이 부분 속에선 왠지 신입사원의 경우가 떠오른다.
새로온 신입사원이 주는 기존사원들의 태도가
이와 같은 경우도 많지 않을런지 싶은.
이런 한가지 예만으로도 분명히 오류도 많이 보일 수 있다.
그럼에도 수긍이 갈 수 있는 건
그의 전개가 작가적 상상력이라고만 보이기 보다는
경험과 성찰에서 나오는 현실감이 토대가 됐다고
보인다는데 이 책의 놀라움이 있다는 것이다.
왜 시골엔 청장년층이 적어졌는지,
은퇴후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들이
실제 시골을 경험했을 때 겪게 될 수 있는
가능성 짙은 쓴소리들이 어느 하나도 헛소리로 들리지 않았는데
이게 오히려 마음을 아프게 한다.
산타가 믿는 아이에게 환상을 깨버리는 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작가는 또다시 얘기한다.
어른아이로 사는 건 본인의 탓도 사회의 탓도 있지만
결국 그 짐은 자신이 지게 되는데 쓴소리가 대수인가 라고
다시 한번 힘주어 꾸짖든 강변한다.
세상 어디에도 유토피아는 없다는 일갈에서
이 책은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