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책이라는 세계
헤르만 헤세 지음, 김지선 옮김 / 뜨인돌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자책보다는 종이의 물성을 사랑하는 나의 시각적인 탐욕까지 충족시키는 멋드러진 표지에도 불구하고, 부담스런 무게감이 없어 가방에 넣고 다닐만 했던 점도 맘에 들었던 책.
게다가,
되새김을 요하는 매력을 지닌 문장들은 소장 욕구에 마구 불을 지폈다.

때때로 책은 나에게 지음(知音)과 같은 존재이다.
세속에 돌연 염증이 날 때, 믿었던 사람에게 실망했을 때,
희망차게만 살아가기엔 고된 삶의 높은 장벽들을 마주할 때
책은 나의 감정받이가 될 누군가에 대해 부담을 가지지 않아도 좋을 상대이며, 그 누구보다 당시의 내 기분을 잘 알아주고 완벽히 치유해 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체 나는 왜 책을 읽어왔던 것일까?'
단지 위로를 받기 때문 만은 아닐 것이다.
헤르만 헤세라는 저명한 문학가가 남긴 글들은 시대를 초월하는 공감과 숙고를 나로부터 이끌어내고 있었다.

그는 독자에게 모호하게 설명되지 못 했던 책에 대한 자신의 기준을 명확히 하고, 단순히 모든 책을 집어 삼킬 듯 탐독하는 독서에 대해서는 경계할 것을 종용한다.

단순한 독서에 대한 예찬을 넘어서는 애서가의 독서지론은 '장서를 다루는 법', '독서의 유형과 효용', '책을 고르고 읽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책이라는 소재에서 궁금해 할 다양한 이야기들를 펼쳐낸다.
깐깐하고 엄격, 근엄한 분위기가 짐칫 느껴지긴 하지만, 단단한 자아와 건강한 내면을 지닌 어르신의 풍부한 경험과 성찰로 부터 얻은 혜안을 큰 수고 없이 경청하는 듯한 기분 좋은 경험이다.

내가 소장할 책을 고르는 과정은 흡사 '좋은 친구를 찾아 떠나는 여정'과도 같다.
막역하지 않은 관계임에도 자기생각을 강요하는 이는, 표지가 근사해 읽었지만 실망이 더 컸던 책을 떠올리게 한다.

지속적인 관계로 이어가고픈 소중한 친구는 첫 눈에는 인식하지 못했지만 시나브로 소울메이트가 된다. 나만의 스테디셀러가 되는 책이 이와 닮았다.
이 책은 이내 나와 이러한 관계가 되었다.

많은 책들 속에 숨어있던 한 권의 가치를 발견했을 때의 기쁨을 온전히 누리며, 두 번째 읽을 때 그 책의 진수를 알게된다는 그의 조언처럼 난 온전하게 집중할 수 있을 때 또 다시 경건한 자세로 오롯이 문장들을 따라가볼 것이다.

백여년 전 작가의 생각을 따라 현재를 살아내는 독자가 교감하는 과정 속에서 내 안에는 정서적 안정과 충만함으로 차올랐다.

독서는 현실을 잊고 도피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삶에 이바지하고 소용이 되기 위함이어야 한다는 것.
고요히 음미하고 아껴 한층 성숙한 책읽기를 권하는 그의 조언을 따라 정신에게 저지르는 가장 고약한 범죄라는 애정 없는 독서, 경외감 없는 지식, 가슴이 텅 빈 교양으로 나를 채우지 않을 것을 다시 한 번 되새긴다.

이 책을 읽은 후에는 여러분도 망망대해 속에서도 영혼의 성장을 위한 책읽기의 항해에서 내일의 돛의 방향은 좀 더 확신에 차 있을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