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와 함께 똑똑해진 집 이야기
갈리아 타피에로.세실 빌랭 지음, 마갈리 뒬랭 그림, 이정주 옮김 / 개암나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들어 코로나로 인해 집에 거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거기에 부동산 문제까지 겹치면서 집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죠~ 코시국에 여행을 못가니 집을 리모델링하거나 새 가구를 사는 일이 엄청 늘었다고 합니다. 재택근무로 집에 거하는 시간이 늘면서 복잡한 도심에 모여살기보다 외곽에 넓직한 집을 구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고도 하고요.

 

<인류와 함께 똑똑해진 집 이야기>는 집에 대한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쉽게 접해볼 수 있는 동화로 쉬운 백과사전 같은 느낌이었어요. 아이들은 집이라고 하면 우리집에 대한 이미지만 떠올리기 쉬운데, 집에 대한 여러 문화와 의미를 볼 수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동물 이야기. 개미는 무리를 지어 살고 여왕개미를 지키기 위해 미로와 같은 집을 짓고 살죠. 철새는 추워질 때면 유럽을 떠났다가 따뜻해지는 봄에 다시 돌아오지요. 개구리, 뱀, 토끼 등은 겨울에 땅 속에 집을 짓고 삽니다. 동물마다 각자 습성에 따라 다른 집을 이야기해보며 신기해하는 아이들과, 또 다른 동물들의 집을 찾아보고 이야기해 봅니다.

 

추위 또는 더위에 따라, 살아가는 곳의 환경에 따라 집이 다르게 짓고 사는 것을 보고 환경에 적응하는 사람의 지혜를 배웁니다. 아이들은 우리가 살아왔던 또는 보아왔던 집을 기준으로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대부분이 아파트 또는 지금 사는 주택 등이 아이들의 기준이 되었는데 다양한 집들을 보며 다르게 살아갈 수 있다는 걸 배웁니다.

예전에 들은 건데, 초등학교에서 친구끼리도 어느 아파트에 사는지, 몇 평에 사는지를 따진다고 하더라구요. 이런 경우야말로 우물 안 개구리가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환경이 다르면 살아가는 모습이 다르듯이 살아가는 환경에 따라 우리의 생각과 가치관도 다 다를 수 있는건데 말이죠.
 

시골로 이사온 우리 아이들은 시골에서 살기에 관심을 보입니다. 넓은 논밭, 내 집처럼 드나드는 마을 사람들, 내 집처럼 드나드는 벌레들.. 마트나 편의시설은 부족하지만 이곳에 만족하며 이곳의 문화를 배워가는 재미가 있습니다. 도시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는 곳이죠.

 

집을 떠난 난민 문제는 얼마전 일어난 아프가니스탄만 봐도 더이상 남의 일이 아닙니다. 지구 온난화로 우리나라도 침수되는 곳이 생긴다 하니~

책 한 권으로 아이들과 시사, 환경, 역사, 생애주기.. 다양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