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에 뿔이 났어요 소년한길 유년동화 8
데이비드 스몰 글 그림, 김종렬 옮김 / 한길사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1. 데이비드 스몰이 글과 그림을 그린 책입니다. 사라 스튜어트의 글에 데이비드 스몰이 그림을 그린 '리디아의 정원'을 인상 깊게 보았는데, 이 책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데이비드 스몰은 장난꾸러기 같은 느낌이 듭니다.^^;
소녀의 머리에 뿔을 달다니요. 그것도 소녀의 키만큼 큰 뿔을 말이죠. 멋있기는 합니다.

2. 이모겐도 뿔이 마음에 들었나 봅니다. 행동하는 데 있어 제약이 좀 있었지만, 이모겐은 그 상황을 즐깁니다. 뿔에다 수건을 말리기도 하고, 도넛을 꿰어서 새들에게 도넛을 먹이기도 했습니다. 저녁에는 촛불을 꽂아놓은 훌륭한 촛대로 쓰이기도 했지요.
초긍정 마인드의 이모겐입니다. 빨간머리 앤이나, '리디아의 정원'의 리디아처럼, 울지 말고 일어나 피리를 부는 왕눈이처럼, 뿔이 난 이모겐의 표정은 시종일관 절망적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재미있다는 표정이죠.

3. 반면에 엄마는 그 뿔을 없애거나 감추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4번이나 기절하는 캐릭터라니요. 마음은 이해가 갑니다만, 이모겐의 엄마는 다른 등장인물들에 비해 걱정이 많습니다.
남들에게 닥친 불행에 안됐다는 마음은 누구나 가질 수 있지만, 그것이 자기 자녀의 일이라면 그냥 쉽게 넘길 수 없습니다. 엄마의 마음인 거죠. 어떻게든 해결하려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절망하고 좌절합니다. 회피하고 부정하려고 합니다. 해결이 될 때까지 문제를 붙들게 됩니다.

다른 가족들은 이모겐의 모습에 놀라기는 했지만, 그래도 미소를 잃지 않습니다. 특히 가정부 언니나 요리사 아줌마는 이모겐의 뿔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점이라고 생각했던 것도 때로는 아무것도 아니거나 장점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그 모습 그대로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정이나 교정도 인정 후에 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이모겐이 문제 덩어리는 아닌 거잖아요? 그냥 문제가 좀 있는 상태인 거죠.

4. 아이들이 자라면서 여러 종류의 해결해야 하는 일들이 생깁니다. 통과의례 같은 그런 거 말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깁니다. 자식들에게 생기는 문제를 부모가 다 해결해 주어야 한다면, 평생 해도 안 될 것 같습니다.
뿔은 곧 사라졌습니다. 의사 선생님, 교장 선생님, 기절의 연속이었던 엄마를 빼면, 다른 사람들은 어느 정도 잘 처신한 것 같습니다. 뿔이 난 이모겐에게 미소를 보여주며 따스한 눈길로 바라볼 수 있는 사람들이 있었기에 뿔은 금방 사라질 수 있었던 게 아닐까요?

반전이 있어 좋았네요. 뿔은 사라졌지만 다른 걸 달고 등장하는 이모겐의 모습이 귀엽습니다. 그 또한 지나가겠죠? 묵묵히 옆자리를 지키며 웃어주고 기다려주는 사람들이 있기에 이모겐은 행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