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의 푸가 - 철학자 김진영의 이별 일기
김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별의 푸가 - 철학자 김진영의 이별 일기
김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블랑쉬: 나는 늘 모르는 사람의 친절함이 필요했어요.
2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소설은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맡고 만질 수 있는 단어들로
문장을 쓰는 일이다.
생각이 아니라 감각이 필요하다.
장면이 바뀔 때마다 뭐가 보이고 들리고 맛이 나고
냄새가 나고 만져지는지 자신에게 물어봐야 한다.

그게 소설 문장의 시작이라면, 끝은 그렇게 알아낸 감각적 묘사를 유사한, 하지만 좀 더 많은 사람들이 경험했을 다른 감각적 표현으로 치환하는 일이다. 이 치환을 좀더 능숙하게 하려면 평소에 감각하는 연습을 많이 해서 더 많은 감각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

시간이 날 때마다 지금 뭐가 보이고 들리고 만져지는지,
어떤 냄새가 나고 어떤 맛이 나는지, 자신에게 묻는 연습을
해야만 한다. 그리고 어딘가에라도 쓸 수 있다면, 그걸 문장으로 쓰자.

<봄에 대해 쓰고 싶다면 봄에 어떤 생각을 했는지 쓰지 말고, 무엇을 보고 듣고 맛보고 느꼈는지를 쓰세요.>

우리가 언어로 전달할 수 있는 건 오직 감각적인 것들 뿐이에요.

217~218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