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그릇 -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는 법
이즈미 마사토 지음, 김윤수 옮김 / 다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부자의 그릇, 평범한 두 단어가 만나니 생각보다 해석하기가 어려워지는데요.

배짱을 말하는 것일까, 타고나는 팔자를 뜻하는 것일까, 그릇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정 짓기가 쉽지 않습니다.

덕분에 서둘러서 책장을 넘길 수 있었던 것 같네요. 이 또한 작가가 의도한 걸까요?

책을 읽고 나니 부자와 빈자의 차이는 돈을 대하는 태도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돈의 노예가 되지 않으려면 돈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스스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많은 돈을 갖고 싶은 것인지, 많이 벌고 싶은 것인지, 돈을 벌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싶은 것인지,

돈을 잘 다루는 능력을 갖고 싶은 것인지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우린 돈에 대해서 깊게 고민해 보지 않는 것 같습니다.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에도 말이죠.

그러다 보니 돈으로부터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굉장히 난처해지기도 합니다.

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보니 원인을 찾기도 힘들고 당연히 상황을 해결하는 일은 만무합니다.

돈은 신용을 가시화시킨 것에 불과합니다. 이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돈은 수단이 아닌 목적이 되죠.

빚을 진다는 게 나쁜 것일까요? 돈에 대한 개념이 잘 잡혀있다면 빚은 문제 될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돈이란 것은 돌고 돕니다. 예컨대, 내가 예금을 하면 은행은 그 돈으로 대출을 해줍니다.

이처럼 돈이 순환하는 과정에서는 사물의 가치가 변하는 것이 아니라 가격이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가치를 보는 식견이 있고, 돈을 다룰 수 있는 사람이라면 부자가 되는 것이죠.

우선시되어야 할 것은 나의 그릇을 키우는 게 먼저입니다. 그러면 담을 수 있는 게 많아지겠죠.

설령, 많이 담는다 해도 넘치지 않을 것입니다.

반대로. 그릇을 키우지 않은 채 담으려고만 한다면 고생은 하는데도 남는 게 없을 것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열심히 산다고 사는데 무언가 채워지지 않는 삶이죠. 오래가지 못할 겁니다.

돈이 많다고 해서 무언가를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돈은 수단일 뿐이죠.

무언가를 이뤄내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도전 정신과 경험입니다.

사람에게는 각자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돈의 크기가 있다고 하는데요.

무언가를 담으려는데만 급급하진 않았는지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