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수필을 평하다
오덕렬 지음 / 풍백미디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그냥 먹어도 맛있지만, 관련된 이야기를 들으면서 먹으면 더 맛있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 책의 역할이 바로 그러하다고 볼 수 있는데 내가 읽는 작품의 장르가 어떤 음식인 것인지

읽고 있는 책이 상한건지 싱싱한건지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용도의 책으로 보면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읽다보니 문득 들었던 생각, 문학도 창작이라는 요소를 포함하는 면에서 본질적으로는 예술성도 띄고 있다는 것.

이러한 깨달음 때문인지 문학작품에 대한 나의 생각이 이 책을 경험한 후에 많이 바뀌게 되었다.

물론 이 책도 여느 것들 처럼 일장일단이 있다.

장점은 작품들이 하나씩 나열되어 있고 이어서 해설이 나오기 때문에 사용된 작법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책을 쓰려는 계획이 있다거나 문학작품을 즐겨 읽는 사람이라면 실용적으로 쓰여질 수도 있을 것 같다.

또 하나, 작법을 설명함과 동시에 평을 하는데 ,가감없는 중립적인 태도로 일관하기 때문에 편협적이지 않은 관점에서 작품들을 바라보는 법도 배울 수 있다. 또, 평가할 때 곤란해질 수 있는 비판 또한 조화롭게 해내고 있다.

아쉬운 점은, 생소한 단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해가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는 것과 한자가 적지 않게 등장해서 해석하기에 난감하다는 것이다. 물론 대다수의 작품은 쉽게 읽혀지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항상 서평을 쓰고나면 아쉬웠던 점이 있는데 내용이 정돈이 안 되어 있고 같은 책을 쓴 것처럼 구별성이 없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뭐가 문제였던 것인지 갈피를 잡을 수 있었다.

개선방안은 똑같은 서평이더라도 내가 어떤 맥을 잡고 쓰려 하는 것인지 큰 틀을 정해두고 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 동안은 형식 없이 글을 쓰다보니 내용의 전개성이나 일관성이 굉장히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던 것이다.

그냥 고쳐나가려면 막막한 영역이지만 그런 걱정은 하지 않을 수 있었다.

책에서는 수 많은 작가들이 사용했던 기법들에 관련해 작품들을 사례로 들어가며 해석해 주기 때문에 나는 가져다가 사용해 보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기법들을 적용해 볼 생각을 하다보니 서평이 아니더라도 글을 많이 써야겠다는 의욕이 생겼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의물화와 의인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파트가 기억에 남는다.

미묘하지만 굉장히 세련되고 글의 몰입이 되게 해준다. 충격적이었고 신선했으며 흥미로웠다.

마치, 작곡에서 각 악기들 별로 주법들이 존재하는 것처럼 글을 씀에도 장르별로 글을 쓰는 틀이 있었던 것이다.

정말 나는 알아야 할 것들, 공부해야 할 것들이 많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

이럴려고 읽은 책은 아니겠지만 의도치 않게 또 하나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역시 이래서 편식을 하면 안되겠구나.. 다시 한 번 곱씹어본다.

-책 중에서 영어로 훌륭한 작품이 나와서 영어가 문학언어가 되고, 독일어로 작품이 나와 문학언어가 되었다고 하는 말이 있는데 이 문구를 보자 명필은 붓을 가리지 않는 다는 말이 생각이 났다.

아마도 저자는, 작품을 표현함에 있어서 재료보다 작가의 역랑이 더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창작수필에 사투리가 사용되는 것처럼 시에도 사투리를 된다는 주장에도 동의 할 수 있었다.

작가가 한국 문학을 정말 소중히 생각하고 발전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느껴지는데 다

행히도 우리 나라는 사투리와 비속어 마저도 그 가치를 허투루 여기지 않는 관점을 고수하고 있다.

문학 작품을 창작함에 있어 표준어만을 고집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런 자세로 문학을 대한다면 저자의 바람대로 국내에서 걸작과 인재들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작문법이나 책에 내용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생각을 하는 사람이도 이 책이 주는 유용함은 있다.

책을 읽을 때 무엇을 중점적으로 읽어야 할 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효율적인 면으로 보아도 책 한권을 통해서 여러 명의 의견을 들을 수 있고 다양한 접근방식과 해석을 접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이롭다고 본다.


-혹 자는 창작수필을 평하는 방법이일반인에게 필요하느냐는 말을 던져 올 수도 있겠지만,

깊이가 없는 질문이라고 느껴진다.

왜냐하면, 우리가 작가가 되기위해서 책을 보는 것이 아니고 작곡가가 되려고 곡을 듣는 것도 아니다.

요리를 취미로 하는 것도, 그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듣는 것도 요리사가 되려는 것이 아니고

운동도 선수가 되려고 하는 것 보다는 건강해지기 위해서 건전한 취미활동으로서 하는것이 대부분일 텐데,

굳이 이 책에다가만 다른 기준을 제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공부해서 남 주는게 아니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세상을 살아가면서 언젠간 다 써먹을 때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