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에는 유난히 자폐인을 내세운 스토리가 많은 것 같다. 이들의 기묘한 천재성, 결여된 사회성을 극복하고 세상과 연결되어 가는 이들의 성장이 색다른 감동을 자아내기 때문일 것이다. 이들을 돌보는 가족들의 헌신과 희생도 눈물겹게 그려진다. 그러나 그러한 스토리들은 보는 동안 그들에게 감동 받지만 나와는 다른 특별한 존재로, 자폐인을 더욱 타자화시킨다. 



자폐인 루 애런데일을 주인공으로 한 엘리자베스 문의 소설 <어둠의 속도>는 사뭇 결이 다른 이야기가 전개된다. 비단 그를 화자로 삼았기 때문이 아닐 것이다. 정치적 올바름 관점에서는 올바르지 않지만 이 책에서는 자폐인을 비정상으로, 그 외 일반을 정상인으로 구분한다. 정상인에 대한 끝없는 타자화는 상식이라 여겨온 행위에 낯선 감각을 불러 일으킨다. 반면 자폐인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긍정하고, 잃기 싫어하는 상황은 '정상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기술 발달로 스스로 가진 본성을 극복하고 통제하면 본래의 정체성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소설의 배경은 기술 발달이 유전적 결함과 장애를 선천적으로 판단해 제거할 수 있고, 기질적으로 반사회적인 성향은 시술로 통제할 수 있는 멀지 않은 미래이다. 현재는 아예 자폐를 가진 아이가 태어나지 않지만, 주인공 루가 태어나던 시기에는 기술이 그만큼 발달하지 않아 그가 가진 자폐증은 조기 개입과 훈련을 통해 어느 정도 생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정된 상태. 그는 현재 그와 같은 자폐인들과 함께 제약회사에서 패턴을 읽는 프로젝트 A팀의 일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루와 그의 동료들은 혼란한 사회 속에서 자신의 패턴이 깨지지 않도록 애쓰며 아슬아슬하게 살아가고 있다. 그 패턴이 깨졌을 때 일반적으로 자폐증을 가진 이들은 분노를 참지 못하거나 엄청난 공황에 빠지지만, 루는 말을 더듬고 경직되기는 하지만 어린 시절 부모님의 교육으로 패닉에 빠지진 않는다.



루는 자신의 상담의에게 숨기고 오랫동안 펜싱 모임에 참가하고 있다. 루는 같은 펜싱 모임의 일원인 마저리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만 그의 감정이 어떤 범위인지, 어떻게 다가가야 할지 알지 못한다. 하지만 세상은 편견에 가득 차 있다. 그가 만나는 펜싱 모임의 사람들은 그를 친구로 대해주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사회는 그와 같은 사람들을 잠재적으로 위험 행동을 일으킬 존재로 본다. 그들의 눈에 비친 '정상인'들은 때로는 너무나 무례해서 낯이 뜨거워질 정도였다. 특히 그들의 상사 크렌쇼는 그들에게 제공되는 지원- 안정을 찾기 위한 체육관, 음악, 지정 주차장 등-이 못마땅하고, 노골적으로 그들을 '비정상'이라 부르며 혐오한다. 크렌쇼는 아직 실험단계에 있는 자폐증을 제거하는 '정상화 수술'을 강요하고, 루와 동료들은 결과를 알지 못하는 수술을 받을 지, 회사에서 해고 당할 지 선택해야하는 상황에 놓인다.




김초엽 작가가 쓴 추천사에서 던진 질문 '장애는 한 사람의 삶을 지배하는 강력한 정체성일까, 아니면 그의 일부일 뿐일까'에 이 책은 어쩌면 장애는 그저 그 사람의 일부일 뿐이라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루의 정체성은 타자화했을때는 그가 가진 장애로 규정되지만, 그의 인생을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그저 일부이다. 그의 삶은 꽤나 다채롭고, 다양한 자극들로 가득찬다. 흥분하면 머리 속에 음악을 떠올리며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은 자폐인의 그것이지만, 사회적 인지 발달이 부족한 상태에도 그는 그가 가진 경험과 관계, 기억들을 소중히 여기며 자신의 일부분으로 잃고 싶지 않아한다. 그렇기에 '정상화'라는 표현은 그의 삶을 송두리째 무시하는 무례한 말이다.



어둠의 속도에 대해 생각하는 루. 어둠에는 빛이 없어 속도가 없다는 것이 상식이지만 그는 언제나 어둠이 빛보다 먼저 도착해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어둠의 속도는 빛보다 빠를지도 모른다고. 패턴과 기계적인 해석으로 미묘한 뉘앙스나 신호는 파악하지 못하지만, 세상을 보다 정확한 렌즈로 바라보는 건 오히려 루와 같은 사람들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작가 엘리자베스 문은 실제로 자폐증을 가진 아들을 키웠다고 한다. 기술로 그 병을 고칠 수 있는 시대는 아직 요원하지만 작가는 자신의 아이가 가진 정체성 그대로를 사랑하는 것 같다. 그러나 정상화가 다른 가능성을 열어준다면 기꺼이 그 모험에 뛰어들 수도 있을 것이다. 루처럼. 



흥미로운 성장스토리의 외연을 쓰고 묵직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책이었다. 읽는 내내 번역가 정소연의 표현처럼 '서서히 차오르는 물처럼 차분한 상황 묘사'에 루가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에 푹 빠져들었던, 그래서 내가 가진 감정과 작고 큰 행위들이 생경하게 느껴졌던 즐거운 시간이었다.



* 네이버카페 리뷰어스클럽에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