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이곳에 왔다. 그 사이 여러 가지 일이 있었고, 바빴고, 여유가 없었다. 오늘 쉽게 잠들지 않을 것 같다. 류이치 사카모토의 에세이를 읽으면서 그동안 일본과 연관된 것들이 계속 떠올랐다 사라지기를 반복했다. 오늘은 이대로 밤을 새도 괜찮을 것 같은, 그런 밤이다. 현재 시간 1시 50분이다. 


  Ryuichi Sakamoto의 에세이 <<음악으로 자유로워지다>>(청미래, 2023)를 어제, 오늘  완독했다. 시기상으로는 이 책이 먼저 출간됐지만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위즈덤하우스, 2023)를 먼저 읽었다. 두 권 모두 올해 출간됐다. 올해 3월에 그는 타계했다. 암 투병 중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부고 기사에 슬펐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하나 둘 지상을 떠나갈 때, 나의 시간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된다. 그의 유고작 제목인 "나는 앞으로 몇 번의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는 특히 그렇다. 나 역시 앞으로 몇 번의 "봄"을 볼 수 있을까. 


  류이치 사카모토라는 이름을 처음 접한 것은 사기사와 메구무의 에세이에서 언급된 몇 줄이었다. 자세히 기억나지 않지만 전공투를 경험한 세대의 새로운 흐름을 언급하면서 류이치 사카모토 음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것 같다. 간간이 그의 이름을 접했고, 영화 <<류이치 사카모토:coda>에서 그를 다시 만났다. 


  내게 일본은 좀 특별한 나라다.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복잡한 감정을 갖고 있다. 근대 식민지 지식인의 일본에 대한 양가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큰아버지 두 분은 재일동포로 일본에서 삶을 마감하셨고, 아버지는 해방이 되면서 한국에 돌아오셨다. 십 대, 이십 대까지 일본은 내 관심사가 아니었다. 30대에 근대 문학을 공부하면서 새롭게 일본과 대면하게 되었다. 조선의 지식인 절대 다수가 일본 유학을 했고, 일본을 통해 우리는 서구 문물을 접했다. 우리의 근대 문학은 '일본'을 빼놓고 설명할 수 없고 근대 문학 역시 일본 문학의 이식이라 할 수 있다. 교육의 효과로 오랜 시간 나는 '반일'의 카테고리 안에서 머물러있었다. 현재도 여전히 그렇다고 할 수 있지만 지금은 조금 넓은 시선으로 사리를 분별하려고 한다. 임종국의 <<친일문학론>>을 읽으면서 근대 문학 작품과 사상서를 읽으면서 '친일'과 '반일'의 경계가 그리 간단치 않음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현재도 마찬가지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너무 길어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