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 드디어 읽어보았다.

 

시마무라는 유산으로 무위도식하며 여행을 다닌다. 눈의 지방에서 게이샤로 사는 고마코는 시마무라를 사랑하는 관능적이고 매혹적인 여자다. 그리고 사랑에 온몸을 던지는 아름답고 순수한 소녀 요코가 있다. 시마무라는 고마코에게 마음이 이끌려 그녀를 만나기 위해 눈의 지방 온천장을 찾지만, 고마코가 보이는 애정을 모두 헛일이라며 방관한다. 시마무라는 열정적으로 사랑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두 여인, 고마코와 요코에게 동시에 끌린다. 이 두 여인은 시마무라를 현실 세계로 이끄는 열쇠 같은 존재들이지만, 시마무라가 지닌 허무의 벽에 튕겨져 나올 뿐이다. (설국 줄거리 요약 중)

 

줄거리만 보자면 그다지 특별할 건 없다. 비슷한 내용의 책이 뭐가 있었지, 하면 바로 내뱉을 수 는 없지만, 책장에 있는 책을 둘러보면 서너 권쯤은 고를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설국은 무슨 이유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걸까? “설국은 에치고유자와를 무대로 한 눈 마을의 풍경·풍물을 배경으로 함축성 있는 관능 묘사가 잘 살아 있다” “설국은 비현실의 세계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순일한 미의 구축에 성공했다라는 평을 받았다고 한다. 설국이 아름다운 첫 문장으로 손꼽히는 소설이라는 것만 봐도 문장의 아름다움을 알 수 있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첫 문장을 읽자마자 독자는 눈의 세계로 들어가며 소설을 읽는 내내 겨울의 포근한 차가움 속에 머물게 된다. 이러한 점을 높이 평가한 게 아닐까 싶다. 겨울이 오면 꼭 설국을 읽는다는 독자도 있다. 나도 한창 여름이 되면 지금 만나러 갑니다를 읽곤 했는데, 한 계절을 대표하는 소설이란 그 자체만으로도 매력이 있는 듯하다.

 

이 소설을 관통하는 단어는 허무이다. 허무주의적 성격인 시마무라가 무의미한 것들을 좇는다고 하는데, 나는 허무의 정의도 모르겠거니와 그 의미가 너무 어려워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다만 시마무라에게서 허무보다는 체념이 느껴졌다. 타인에게 어떠한 기대도 하지 않으려 하고 타인이 자신에게 무슨 기대를 하든 괘념치 않으려는 마음. 사람과 환경에 상처를 입고 다 내려놓은 듯한 마음이 느껴졌다. 그러나 사람이란 깨끗이 무언가를 포기할 수는 없는 듯하다. 그래서 시마무라도 사람에 대한 정을 품고 있는 고마코와 요코에게 끌린 것이 아닐까. 자신이 포기하려는 무언가를 순수히 지니고 있으니 말이다.

 

설국을 다 읽고 이 책이 왜 노벨문학상을 받은 건지, 무엇이 특별한 건지 의문이 들었었다. 그러나 설국의 아름다운 첫 문장, 체념하면서도 꼭 쥐고 있는 무언가, 겨울을 대표하는 소설이라는 점에서만 봐도 한 번쯤은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인 듯하다. 혹시 모른다. 내년 겨울이 되면 다시 설국이 생각날지도.

사방의 눈 얼어붙은 소리가 땅속 깊숙이 울릴 듯한 매서운 밤 풍경이었다. 달은 없었다. 거짓말처럼 많은 별은, 올려다보노라니 허무한 속도로 떨어져 내리고 있다고 생각될 만큼 선명하게 도드라져 있었다. 별무리가 바로 눈앞에 가득 차면서 하늘은 마치내 저 멀리 밤의 색깔로 깊어졌다. 서로 중첩된 국경의 산들은 이제 거의 분간할 수가 없게 되고 대신 저마다의 두께를 잿빛으로 그리며 별 가득한 하늘 한 자락에 무게를 드리우고 있었다. 모든 것이 맑고 차분한 조화를 이루었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