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주 교보문고에서 책을 구경하다 어느 추리소설을 번역한 역자의 짧은 감상을 봤다. 처음부터 끝까지 번역해 나가다 결말을 본 뒤, 놓친 암시와 복선을 깨닫고 다시 처음부터 번역을 검토했다는 이야기였다. 일반 독자라면 복선이나 암시 한두 개쯤 놓친들 문제없다. 그러나 번역가는 다르다. 작가가 숨겨놓은 메시지, 하고자 하는 말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번역가의 역할이다. 글을 쓴 작가가 아닌지라 완벽하게는 알 수 없다고 하더라도 최대한 그 의도를 파악해 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책을 읽는 방법의 저자 히라노 게이치로는 슬로 리딩을 권유한다. 저자는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한 작가로, 작가가 되고 책 읽는 법이 많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책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고 말한다. 직업상 읽어야 할 책이 산더미였던 작가는 속독을 동경해서 몇 번이나 마음먹고 도전해봤지만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고 한다. ‘나만 이렇게 읽는 속도가 느린 걸까?’ 하는 고민에 다른 작가들에게 물어보니 대부분이 자신도 책을 느리게 읽는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저자는 많이 읽기 위해서 책을 읽는 것이 아니기에 독서를 즐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속독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풍요롭게읽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슬로 리딩은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우선 조사와 조동사에 주의하기이다. ‘나는 사과를 좋아한다나는 사과를 좋아하기는 한다의 의미는 전혀 다르다. 이렇듯 조동사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자칫 놓쳐버리기 쉬운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두 번째는 사전 찾는 습관을 기를 것이다. 글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더라도 앞뒤 내용을 보며 짐작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안다고 자만했던 것이 미묘하게 다를 위험이 있다. , 작자의 의도 생각하기, 작자의 의도보다 흥미 깊은 내용을 찾아내며 읽는 풍요로운 오독 하기가 있다. 책에는 작가의 의도가 반드시 있으나, 작가는 어느 정도 독자의 자유로운 해석을 미리 상정하고 있다.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면서 자유로운 오독을 즐긴다면 자신과 다른 의견에 귀를 기울여 자기 생각을 더욱 유연하게 만들 수 있다. 저자는 책 읽는 방법으로 자주 나오는 소리 내어 읽기’ ‘베껴 쓰기에는 부정적 견해를 보인다. 소리 내 읽다 보면 잘 읽는것에 의식을 집중한 나머지 내용에 대한 주의력이 산만해질 수 있고, 베껴 쓰기 역시 쓰는작업에 집중해 문장에 대한 이해는 깊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라는 의문 갖기, 앞 페이지로 돌아가서 확인하기, ‘깊게읽기, 밑줄과 표시하기 등이 있다.


이 책의 재미있는 점은 제3부 슬로 리딩 실천편인데, 마치 국어 선생님이 수능 강의를 해주는 것처럼, 예문을 읽는 법을 가르쳐주고 그 속에 숨어 있는 내용을 쏙쏙 짚어낸다. 일본 소설뿐 아니라 카프카의 소설, 푸코의 철학서까지 다루고 있으니, 다른 책을 읽기 전에 , 이 책은 이런 식으로 읽어봐야겠다하고 슬쩍 보는 것도 좋겠다.


나도 저자처럼 책을 느리게 읽는 사람이다. 소설, 철학서, 과학서, 심지어 만화책까지 분야를 가리지 않고 느릿느릿 읽는다. SNS한 달에 이만큼이나 읽었어요하고 올리는 사람들의 글을 보면 나는 겨우 요만큼 봤는데, 저 사람은 눈떠서 잘 때까지 책만 보나?’ 생각하며 쌓여있는 책들을 안쓰럽게 바라보기도 했다. 그러나 책을 읽는 방법을 읽고 내가 왜 책을 읽는지, 무엇 때문에 책을 읽는지 되새길 수 있었다. ‘적 독서가 아닌 적 독서를 하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한다.

독서를 즐기는 비결은 무엇보다도 ‘속독 콤플렉스‘에서 해방되는 것이다! 책을 빨리 읽어야 할 이유는 전혀 없다. 책을 빨리 읽으려다보면 자연히 빨리 읽을 수 있는 얄팍한 내용의 책으로 손이 가기 마련이다. - P9

‘슬로 리딩‘이란 차이를 낳는 독서기술이다. 여기서 ‘차이‘란 속도나 양의 차이가 아니라 질의 차이를 말한다. - P9

쓰는 사람은 누구나 읽는 이들이 자신의 책을 슬로 리딩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글을 쓰는 것이다. - P23

칸트나 헤겔이 평생 동안 독파한 책의 권수가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의외로 적다고 해서, 그들을 무지하고 어리석은 인간이라 평가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 P24

슬로 리딩으로 독서의 비법을 익히게 되면, 설령 속독이 필요한 경우라도 어떤 점을 주의해서 읽어야 하는지 알기 때문에, 오독을 줄이고 뜻하지 않은 실수를 예방할 수 있다. - P27

동사와 명사를 살리느냐 죽이느냐 하는 것은 조사와 조동사에 달려 있다. 조사와 조동사가 정확하지 않은 문장은 이음매가 엉성한 건물과 같아서, 아무리 건축자재(어휘)가 충실해도 외관상으로 보나 안정성이라는 관점으로 보나 큰 문제가 있다. - P55

문화는 전파과정에서 ‘오독력‘에 의해 풍부해지며, 이는 책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이러한 풍요로움은 어디까지나 책의 입장에서 풍부하다는 것이다.
확실히 ‘오독력‘은 책의 가능성을 확대시켜준다. 그러나 ‘작자의 의도‘를 완전히 무시하고 언제나 ‘오독력‘에 의지해서 책을 읽는 사람은, 무슨 책을 어떻게 읽어도 늘 독선적인 결론만 이끌어낼 가능성이 있다. 그것은 독자로서의 가능성을 편협하게 하는 독서법이다. - P64

의문이 생기면 대충 넘어가지 말고, 혹은 일방적으로 책의 결함이라고 단정짓지 말고, 허심탄회하게 그 구절에 귀를 기울여보자. - P65

하나의 작품은 여태까지의 문학이나 철학, 종교, 역사 등의 방대한 말의 축적에 의해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우리는 책을 서둘러 ‘앞으로‘만 읽어나갈 것이 아니라, 보다 ‘깊게‘ 읽어야 한다고 발상을 전환할 수 있지 않을까?
작자는 도대체 무슨 말을 하려는 것일까? 그리고 그 주장은 무엇을 근거로 하는 것일까? - P72

…작품의 주제를 현대로 끌어들여 비교해서 생각하는 것 역시 작품의 독해에 깊이를 제공할 것이다. - P110

예를 들어 등장인물이 대화 도중 차를 한 잔 마셨다는 등의, 이런 묘사가 왜 필요했을까 싶은 사소한 대목도 실은 긴장에서 오는 갈증을 나타내거나 한숨 돌릴 행간의 필요성을 암시하는 장치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 뒤에 이어지는 내용은 긴장감을 갖고 이야기해야 할 만큼 중요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 P110

소설을 읽는 이유는 단순이 교양이나 오락을 위한 것만이 아니다.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 겪을 수 있는 경험은 한정되어 있고, 더군다나 극한적인 상황을 경험하는 일은 더욱 드물 것이다. 소설을 그러한 우리의 인생에 예고 없이 침입하는 일종의 이물(異物)이다. 그것을 그냥 배제해버리고 말 것인지 아니면 잘 다듬어서 진짜와 같은 하나의 경험으로 만들 것인지는 독자의 태도 여하에 달려 있다. - P135

같은 작가가 반복해서 다루는 테마를 작품마다 비교해가며 읽는 것도 슬로 리딩의 중요한 테크닉이다. - P144

…소설을 읽는 방법에 ‘정답‘은 없다. ‘작자의 의도를 찾아내는‘ 것은 확실히 의의 있는 일이지만, 반드시 그에 구속될 필요는 없다. 작자의 의도를 이해하고자 하는 방법과 자기 나름대로 해석을 시도하는 두 가지 방법을 항상 병행하며 책을 읽고, 작품에 따라서는 그 비중을 바꾸는 것이 아마 가장 무난한 전술일 것이다. - P149

독서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감상을 과신하지 않는 태도이다. - P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