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가 인격이다 - 당신의 품격을 좌우하는 단어 활용 기술
배상복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어가 인격이다>라니, 책 제목이 확 와닿는다.

'왜 같은 말을 했는데 누구는 비호감으로 찍히고
 또 다른 이는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은가'에 대한
대답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싶어 집어들었다.

 

말 한마디를 해도 ‘저 사람은 왜 저렇게밖에 말하지 못하는가?’
생각할 때가 많은데,
생각해보면 같은 말을 해도
사용하는 단어에서 풍기는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잘못 알고 있는 오탈자 하나로
그 사람이 하는 말에 신뢰가 확 떨어졌던 것 같다.

 

책에는 여러 가지 사례가 제시된다.

 

평소에 흔히 생각하던 잘못된 단어들의 사례도 있고,
(5만원이세요, 이쪽으로 누우실게요, 얼른 낳으세요 등등)

 

보고서나 문자 메시지, SNS 등에서 자주 틀려
상대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오탈자 맞춤법 관련 단어 사례들도 있다.

 

또한 '여류 소설가', '처녀 출전', '안사람, 바깥사람', '파출부' 등
같이 일해도 동급으로 취급되지 않는 여성만의 단어들,

 

'서울에 올라가요, 시골에 내려가요' '너 왜 이렇게 촌스러워' 등
지역을 구분하고 격차를 벌리는 단어들,

 

아무리 최순실에게라 해도 '염병하네'라는 말을
함부로 쓰면 안 되는 이유 등도 포함한다.

 

'단어 하나가 바뀐다고 뭐가 달라지는가'라고 생각하는 이도 있을 테고,
'뜻만 통하면 되지, 뉘앙스 차이까지  공부해야 하는가'라고 생각하는 이도 있을 텐데
이 책을 보면 생각이 좀 달라질 듯.

 

보고서 안에 틀린 단어 몇 개가 내 신뢰도를 좌우한다는 사실,
무심코 내뱉는 말이 누군가를 희롱하거나 불쾌하게 느껴질 수 있음을 안다면
결코 단어 하나라고 쉽게 볼 수는 없으리라 장담한다.

 

적어도 단어 몇 가지만으로 인격을 판단하는 법을 배웠으니
읽은 것만으로도 내게는 큰 소득이다.


앞으로는 사람을 좀 가려서 만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적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어가 인격이다 - 당신의 품격을 좌우하는 단어 활용 기술
배상복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가 사용하는 단어를 보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고스란히 드러나고 그의 인격도 엿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혼입니다만, 그게 어쨌다구요?! - 결혼이 위험 부담인 시대를 사는 이들에게
우에노 지즈코.미나시타 기류 지음, 조승미 옮김 / 동녘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 있는 삶, 아이 없는 삶, 결혼하는 삶, 결혼하지 않는 삶 그 모두가 개인의 선택임을 존중하는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과학이 말하는 성차별이 불편합니다 - 진화심리학이 퍼뜨리는 젠더 불평등
마리 루티 지음, 김명주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놈의 이분법은 어디에나 있구먼. 어떤 내용일지 심히 궁금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모의 진심, 살아남은 자의 비밀
란즈커 지음, 박찬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는 가장 최근에, 권력의 최전선에 서 있던 이가

한순간 고꾸라지는 모습을 경험했다.

 

검찰조사를 나온 최순실은 억울하다고 하고, “3대를 멸하겠다는 소리를 들었다며, 민주주의를 들먹였다.

그가 생각하는 ‘3는 아마 자신과 자신의 딸, 그리고 그 딸의 자식을 말하는 것이었으리라.

그리고 그가 말하는 민주주의

‘(남들은 어찌될지 알 것 없고 일단) 내 꿈만은 이루어지는 나라였을 것이다.

그런 이가 모든 능력을 잃고 추궁당하는 입장에 처했으니 억울하다고 느낄 만하다.

이러한 그들의 태도를 보았을 때,

꼭두각시 박근혜와 그를 조종한 최순실은

그들의 권력이 3대를 지나 천년만년 가리라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역사는 늘 권력은 영원한 것이 아님을 말해왔다.

역사에서 박근혜, 최순실과 정 반대의 길을 걸어

마지막까지 풍요로움을 누리다 간 인물이 있다.

멀쩡한 황제도 하루아침에 비명횡사하는 처절한 시대인 510국에

30여 년 동안 고위관직을 지낸 풍도다.

 

풍도는 수많은 라이벌과 자신의 리더까지 비정한 칼끝 위에 스러지는 마당에

자신만은 안정과 평화를 누려 스스로 길게 즐거움을 누린다는 의미의

장락長樂 선생이라 이름을 붙였다 한다.

<참모의 진심, 살아남은 자의 비밀은>은 그러한 풍도의 일대기를 통해

참모가 자신의 역할을 다하면서도 위험에 처하지 않는 방안,

어리석고 포악한 리더를 모시는 방안,

정도를 넘어서지 않는 방안 등을 모색한다.

 

책 속의 풍도는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개인의 처신이다. 그는 정도를 지킬 줄 알았다.

또한 욱하며 성질을 내거나, 상대의 비난에 휘말리지 않았다.

권력과 재물 앞에 눈이 멀지 않았고, 가진 것을 나눌 줄 알았다.

이러한 그의 행동 하나하나가 모여 그의 평판이 되었다.

 

두 번째는 참모로서의 역할이다.

그는 열한 명의 황제를 보좌한 바가 있다.

어떤 황제는 글자 하나 모르는 무식한 이였고,

또 어떤 황제는 쉽게 믿음을 주지 않는 이였다.

그는 황제의 성향을 먼저 파악하고, 그에 맞게 설득하는 법을 알았다.

명예욕이 있는 야율덕광 황제에게는 권위를 부여하고,

욕심만 많고 어리석은 리더인 이종가를 만났을 때는

잠시 고개를 숙이고 자중할 줄 알았다.

이러한 그의 행동이 비로소 그를 30여 년 긴 즐거움을 누리는 장락 선생으로 만들었다.

 

박근혜와 최순실이 풍도를 알았다면

그와 같은 정도를 넘어서는 어리석은 우를 범하지는 않았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