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품은 선비 - 사계절 나무에 담긴 조선 지식인의 삶
강판권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는 "세 사람이 걸어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될 사람이 있다"고 했다.
이는 누구든지 마음만 먹는다면 세상 어디에서나, 누구에게서나 배움을 얻을 수 있음을 말한다.
조선시대에는 비록 접할 수 있는 책의 범위도 부족하고, 돌아다니며 견문을 넓힐 기회도 한정되었지만, 조선시대 선비들은 이에 개의치 않고 주어진 조건 안에서 견문을 넓힐 방법을 찾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주변에 자신이 따르고 싶은 나무를 심고 그 나무가 가르쳐주는 바에 따라 삶을 운영하는 것이었다.
<나무를 품은 선비>는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어떻게 나무를 비롯한 자연을 벗삼아 지식을 쌓고 자연의 가르침을 실천했는지 그 역사를 들여다본다.

 


책 속에는 나무처럼 살고자 한 조선 지식인들의 삶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들은 늘 나무를 곁에 두고, 그 나무가 품고 있는 성리학적 가치를 배우기 위해 노력했다.
남명 조식은 고매한 선비정신의 상징인 매실나무를 곁에 두고, 말년이 되어서도 앞마당에 매실나무를 심는 정성을 보였다.
조임도는 효도를 상징하는 배롱나무를 부모님 묘소 옆에 심어놓고, 배롱나무 꽃이 질 때까지 부모를 생각했다.
조성한은 파직당한 후에도 '고매한 선비로 살아가겠다'는 의미로 집앞에 회화나무 두 그루를 심고, 집 이름도 '쌍괴당'으로 바꾸었다.

나무를 닮으며 나무처럼 살고자 한 선비들의 노력은 그들의 정신이 되어 오늘날까지 살아 숨 쉰다.
한 그루 나무에 깃든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삶과 철학을 엿볼 수 있었다.
나도 그들처럼 하나의 작은 사물 안에서 깃든 크나큰 우주를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