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부모님은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안양에 있는 지하상가에서 장사를 했다.

햇살 한 줄 들지 않는 그곳이었지만 그들은 

아침 10시부터 저녁 10시까지, 20여 년 동안 한결같이 그곳으로 출퇴근했다.

그들에게 그곳은 나를 키운 터전이었고, 미래의 희망을 담은 장소였다.


그리고 내게 그곳은 길 잃을 걱정 없는 놀이터 같은 곳이었다.

중앙 큰 도로가 에프(F) 자로 꺾이는 그곳은 처음 가는 사람들이 한두 번쯤 길을 잃기에 딱 좋았다.

나는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지하상가를 돌아다녔기에,

내 나이대 아이 가운데 나보다 지하상가 길을 잘 찾는 이는 없을 거라는

나름의 자랑이 친구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먹혔던 이유다.


그런 그곳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춘 건 10여 년 전부터였다.

안양시는 낙후된 지하상가를 최신 시설로 변경하기 위해

A와 B로 리모델링 구역을 나누고, 단계별로 약 2년 동안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A와 B 구역을 한꺼번에 폐쇄하지 않는 이유는 상인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장사하던 이들에게는 분양 우선권을 제공할 테니 리모델링 이후 돌아오라고 제안했다.

그 자리에서 나갈 것인지 아니면 기다릴 것인지, 어느 쪽이든 어려운 선택이었다.

가게에는 권리금이라는 게 있어서, 어느 쪽을 선태하든 권리금 2억은 포기해야만 했다.

일부는 분양권을 포기한 뒤 다른 지역으로 떠났고, 일부는 2년 뒤를 기약하며 주변 다른 상가에 자리를 잡았다.

당시 우리 가게는 B 구역에 있었다.

안양역과 연결되어 있는 A 구역을 폐쇄하니, 이내 B 구역의 상권도 함께 허물어졌다.

게다가 B 구역에도 분양권을 포기하고 먼저 나간 가게들이 음산한 분위기를 조성해

결국 B 구역이 폐쇄될 즈음에는 손님보다 가게 점원들이 더 많을 지경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부모님이 끝까지 버텼던 이유는,

2년이 지나면 다시 이전처럼 장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셨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은 조금 힘들어도 리모델링 끝나면 가게도 더 좋아지고 권리금도 오르겠지."

엄마는 그렇게 말했다.


그 후 2년이 지났다.

성남으로 간 신성문고 아줌마와 수원으로 간 연진이네 아줌마는 돌아오지 않았고,

동그라미 아줌마, 잉글랜드 아줌마는 우리 부모님처럼 다시 옛 터전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서로를 가게 이름으로 불렀다)


주인은 '리모델링'을 이유로 월세를 두 배로 올렸고,

안양시 역시 '리모델링'을 이유로 관리비를 두 배로 올렸다.

그럼에도 권리금은 '리모델링'을 이유로 0원부터 시작했다.

손님들은 새로 개장한 지하상가에 별 관심이 없었다.

2년의 시간은 지하상가가 없어도 익숙해지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몇 안 되는 손님을 나누어 가져야 했기에, 상인들 사이는 예전 같지 않았다.

앞집 언니는 우리 엄마가 자꾸 자신의 디스플레이를 베낀다며 도끼눈을 떴다.

퇴근 시간마다 자신의 마네킹에 보자기를 씌우느라 야단이었다.

결국 부모님은 그곳에서 1-2년을 더 버티다가 권리금 1,000만원에 가게를 넘겼다.


빛 한 줄기 내리지 않는 그곳에서 미래의 빛줄기를 생각하며

한없이 노력하던 우리 부모님은 결국 안양을 떠났다.

젊은 시절의 대부분을 보낸 그곳에서 쫓겨난 우리 부모님 같은 상인들에게 남은 것은

상처와 울분뿐이었다.


지금도 종종 생각한다,

그렇게 오랜 시간을 그곳에서 지내온 사람들의 시간을

이토록 가볍게 취급한 예의 없는 자들은 대체 누구인지.


그 후 부모님이 새로운 터전에 자리를 잡은 지 10여 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일하는 부모님' 모습을 떠올리면 지하상가의 그 가게가 생각난다.

그곳에서 알고 지내던 이들이 생각난다.


나보고 예쁘다며 초코맛 아이스크림을 사주었던 옆집 언니,

학교 들어가는 나를 축하한다며 신발을 선물해준 잉글랜드 아줌마,

체하기만 하면 사이다 한 병을 손에 들고 우리 엄마를 찾아와 손을 따달라 하던 건너 가게 아주머니,

내가 처음으로 아르바이트를 한 가게 등

공간도 사라지고, 그곳의 사람들도 사라젔는데 추억은 오롯이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