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로 철학하기
슬라보예 지젝 외 지음, 이운경 옮김 / 한문화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트릭스로 철학하기>는 영화 <매트릭스> 속에 있는 철학적 의미들을 각 분야의 철학 전문가들이 자신의 관점에 따라 쓴 비평서다. 책 속에는 소크라테스부터 사르트르, 도스토예프스키, 유물론, 종교철학 등 수많은 철학 요소들이 등장한다. 한 권의 영화로 이렇게 많은 철학적 관점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영화 <매트릭스>는 인간이 평생 두뇌의 자극에 의해 환상 속에 살고 있다는 가정하에 시작된다. 영화 속 주인공들은 우리가 보고 만지고 느끼는 모든 것이 사실은 우리의 직접 경험이 아닌 두뇌 속, 꿈속의 일일 뿐이라는 사실을 깨달은 뒤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현실에 안주하며 자신이 느낀 풍요롭고 안락한 삶을 누리고 싶다면 파란 약을, 마비된 정신을 버리고 현실을 직면하려면 빨간 약을 먹으라는 것이다. 결국 주인공은 "진실을 보지 못하도록 눈을 가리는 세계" 안에서 진실을 되찾기 위해 빨간약을 먹는다. 주인공 네로를 베롯한 선구자들을 영화는 '대원들'이라 지칭한다.

  

<매트릭스로 철학하기>는 그러한 대원들의 혁명가스러운 모습을 '철학자'에게서 찾는다. 대원들이 매트릭스 속으로 들어가 진실의 사막을 발견하는 모습은 플라톤의 동굴 속 사람들에게 기꺼이 동굴 밖의 진실을 이야기하는 사람과 오버랩된다. 그들은 결국 진실을 위해 자신들을 기꺼이 던지고, 마침내 승리한다.

 

 

 

 

 

책을 읽는 내내 우리가 정말 현실에 살고 있는 것인지 매트릭스 안에 살고 있는 것인지 고민하게 되었다. 가끔 우리는 수많은 진실 앞에 눈을 감아버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실에 안주하고 싶어하지, 진실을 알고 싶어하지 않는다. 무지에서 깨어나는 과정은 플라톤의 동굴 밖으로 나오는 사람이 눈부심에 힘겨워하는 것처럼 늘 고통이 따른다. 존재의 본질은 사르트르의 구토처럼 구역질나게 만드는 그 무엇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빨간약은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예기치 못하고 삼켜버린 너무나 쓴 약"일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진실의 쓴 빨간약을 버리고 안락의 파란약을 먹은 사람들로 판을 치는 현실은 결국 어떻게 되었나. 지금 우리 사회는 무無정의가 판을 치고 있다. 기업은 돈을 모으는 데 혈안이 되어 있고, 정부는 국민을 속이고 감시하는 데 급급하다. 이런 상황에서 나를 지키고 나아가 정의를 지키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정의로운 사람이 서로 모여 연대를 해 플라톤의 동굴 속에 갇혀 있는 다른 이들에게 빛에 관해 이야기해주는 것뿐이다. 이미 파란약으로 진실을 외면하기 시작한 사람들은 처음에는 동굴밖을 나오기를 거부하겠지만 점차 그들도 진실의 빨간약을 먹을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들 역시 "우리 눈에는 태양이 지구를 도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것"이라는 사실을 자각하게 될 것이다. 눈앞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진실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책은 자신을 가리고 있는 색안경을 벗고 스스로 보아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거짓 세상을 마주하는 용기, 우리가 인식의 노예라는 것을 아는 인식. 이것을 지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외면과 냉대, 적대감은 그 어떤 현실도 바꿀 수 없다. 오히려 삶을 더 나쁜 쪽으로 이동시킬 뿐이다. 인간은 선한 쪽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공자는 그것을 '어짊[仁]의 실천'이라고 말했다. 이를 책에서는 "인간은 악전고투를 위해 인식을 얻는다"라고 말한다. 거짓세상 앞에서, 무적으로 보이는 무無정의 앞에서 "나를 기만하지 말라, 내 눈을 가리지 말라"고 당당하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다른 사람과 연대하겠다는 약속이기도 하다. 또한 자기중심의 삶을 버리고 약한 존재를 위해 나아가겠다는 선언이기도 하다. 매트릭스에서 대원들이 서로 뭉쳐다니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진실을 지키려는 자는 소수이지만 그것이 뭉치면 무적의 스미스 요원조차 어찌할 수 없는 힘이 생긴다. 이것을 "연대"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