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근대, 다시 읽는 해방 전前사 - 이덕일 역사평설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늘 취사 선택된다. 역사는 모든 사람의 삶의 기록의 총합이고, 아무리 두꺼운 책도 그 많은 사람의 이야기를 다 담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역사책은 무엇을 어떻게 담아야 할까. 무엇의 기억을 버리고 무엇을 책에 기록해야 할까. 이 책은 그것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의 근대는 어떤 모습으로 기록되고 있는가?

한국사회에서 근대는 특히 더 예민한, 뜨거운 감자다. 

주권을 잃어버린, 빼앗긴 역사였기에 그렇다. 가까운 일본과의 관계는 아직도 예민한 상태다. 다른 나라와의 관계 속에서도 주체성을 잃지 않고 역사를 기록하기는 쉽지 않다.

이 책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는 지금까지 역사를 서술할 때 가장 중요한 바로 그 '주체성'을 잃어버리고 일제시대의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고 한다. 때문에 그 식민사관을 걷어버린, 우리의 역사를 재기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덕일 소장은 그에 대한 고민을 이 책에 담았다. 



최대한 객관적인 자료로 객관적인 서술을 하기 위해 노력한 탓인지 책의 서술은 담담하고 건조한 편이다. 중간중간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컬러 사진을 활용했다.




이 책은 시기상 <근대를 말하다>의 후속편에 해당한다. 내용이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느 책을 먼저 읽어도 상관없지만 두 권을 함께 읽을 것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