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합격, 계급 - 장강명 르포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년실업율이 9.9퍼센트를 육박하고 있다는 기사를 접했다.

열 명 가운데 한 명은 한 번도 일을 해보지 못했다는 의미다.

그나마 직업을 구한 이들도 두 명 가운데 한 명은 비정규직이라고 한다.

그러다보니 너도 나도 대학 1학년 때부터 대학전공이 아닌 공무원 시험 과목을 준비하고,

각종 공모전과 봉사활동으로 4년을 보낸다.

제때 취업하기가 하늘에 별 따기니, 졸업을 유예해서라도 대학생 신분을 유지하려 한다.

이렇게 청년들은 직장을 찾기 위해 아우성인데, 기성세대들은 뽑을 사람이 없다고 난리다.

이 간극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

기성세대들은 말한다.

요즘 애들은 너무 눈이 높아’, ‘모험정신이 없어’,

중소기업에서 우선 실력을 우선 쌓아라.’

하지만 청년세대들은 안다.

한 번 잘못된 사다리를 선택하면 다시는 옮겨 탈 수 없다는 것을.

이 나라는 단 한 번의 실패도 용납하지 않으니까.

장강명 작가의 <표백>에서 나오는 대사처럼

도전과 모험이 그렇게 좋은 것이라면 기성세대들이 벌써 했을 것임을 그들은 안다.




장강명 작가는 <당선, 합격, 계급>에서

문학계의 공모전과 기업의 공채 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각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경직성을 밝힌다.

 

책에 따르면 두 시스템 모두 뛰어난 소수를 선정하기 위해 탄생했지만

진흙 속 진주를 발견하기보다는

진흙을 걸러내는 역할로서 작용한다는 내용,

결국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에 두각을 나타내는 이보다는

대체적으로 무난한이를 고를 수밖에 없는 시스템 등을 언급하고 있다.

-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오찬호 선생의 <대통령을 꿈꾸던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가 떠오른다.

모두가 시험에 매달리는 시스템,

한 번 낙오되면 다시 오를 수 없는 사다리,

제도권 안에 들어가기 위해 점점 더 보수화되는 이들.

고작 평범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죽도록 노력해야 하는 사람들.

작은 자리를 놓고 수많은 사람이 애를 쓰는 아귀다툼.

그리고 이러한 기회마저 얻을 수 없는 또 다른 수많은 약자들.

-

결국 문제는 다양성이다.

장강명 작가는 이 다양성을 담보하는 방안으로

독자들의 문예 운동을 제안한다.

기존에 상류 위주로 설계된 간판을 허물고,

공모전 외에 다른 방식으로도 충분히

재능을 발휘할 수 있게끔 돕는 공동체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의 말처럼 기존의 시스템에 더해 새로운 시스템이 적용된다면

지금처럼 한 가지 목표를 향해 수십, 수백만 명이 달리는 상황은 재현되지 않을 것이다.

-

그들에게 모험하지 않고 실패를 두려워한다고 다그칠 것이 아니라,

모험하고 실패해도 괜찮은 사회를 함께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이런 사회를 만든 건 기성세대이므로.

자신들도 좋은 세상을 못 만들었으면서

젊은이들에게 윽박지르는 건 너무 무책임하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