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 쉽게 읽고 되새기는 고전 클래식 브라운 시리즈 4
맹자 원작, 신창호 지음 / 생각정거장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너무나 유명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 고전이라 했던가. 하지만 독서의 마지막 로망은 늘 고전이다. 읽어보려고 여러 번 시도해도 어려운 원문에 가로막혀 좌절하기 여러 번이다. 특히 중국 고전인 [논어]와 [맹자]는 한문이라는 벽 앞에 무력해진다. [맹자]를 해제해주는 해설서 또한 어렵기는 매한가지였다. 그러던 중  올봄에는 시민대학에서 운영하는 [맹자] 수업을 들었다. 혼자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던 [맹자]의 사상을 쉽게 풀어  설명해주니 맹자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특히 왕도정치에 대한 부분은 현대 정치와 대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강의를 듣고 한 번 더 정리하고 싶었는데 마침 생각정거장의 클래식 브라운 4번째 책이 [맹자]다. 고전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이제스트 한 시리즈로 고전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시리즈다. [맹자]의 어려운 원문은 독자들이 읽기 쉽게 우리말로 의역하고 의미를 보충하여 설명하고 있다. 원문을 읽고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해설을 읽으며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총 5장으로 구성하여 각 장을 선함, 의리, 왕도정치, 효와 우애, 삶의 지혜 등으로 나누어 주제별로 읽을 수 있다.

  맹자라는 인물은 명성에 비해 알려진 바가 별로 없는 사람이다. 춘추전국시대에 태어나 자신의 사상을 알아줄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자신의 사상을 정치적으로 펼치고자 했으나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춘추전국시대는 패권을 쥐기 위해 전쟁이 끊이지 않던 시기였기에 부국강병만이 나라를 지키는 일이라고 생각하던 시대였다. 맹자의 왕도정치 즉 덕으로 백성을 다스린다는 주장을 현실과 전혀 맞지 않는 주장이었다. 왕들은 맹자의 사상을 듣기는 청하나 실천하는 이들은 없었다. 
맹자는 현실에 적용할 수 없었던 자신의 사상을 정리해 [맹자]라는 책을 쓰게 된다. 맹자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상은 성선설이다. 맹자는 선하게 태어난 사람들이 환경에 의해 악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우물가에 아이가 서 있다면 누구든 그 아이를 구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그것은 근본이 선함과 양심에서 온다고 보고 있다. 왕이 백성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준다면 백성들은 왕을 따르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왕도정치는 백성들의 선함을 이끌어 내는 정치다.

양심을 회복하라. 그리고 의리에 따라 왕도를 추구하라. 부동심과 양기의 분위기가 내가 속한 공동체 조직과  이 사회를 감싸게 하라. 그것이 이 시대를 선도하는 시대를 선도하는 시대정신으로 자리매김하게 하라 192

  맹자를 공부하며 맹자는 왜 백성들을 가르치려 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맹자는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 하면서도 왕들을 가르쳐 세상을 바꾸려는 시도를 할 뿐 백성들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게 하려는 생각조차 없는 것 같다. 맹자가 생각하는 백성이란 나라를 세우는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만약 맹자가 백성들의 삶 속에 뛰어든 사상가였다면 세상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진정한 혁명이나 사상은 위에서 내려오는 계몽이 아니라 백성 스스로가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교를 건국이념으로 세운 조선 또한 겉으로는 덕치를 주장하지만 엄격한 법을 내세운 법치국가였다. 즉 양반만을 위한 국가가 된다. 군자가 되기 위한 선비 사상은 그냥 사상으로 머물러 권력을 잡기 위한 자신들의 학파까지 세운다. 20%의 양반을 위한 80%의 백성은 그들을 위한 도구가 된 것이다.  그래서 국민은 개돼지라고 말할 수 있는 지도자가 아직도 우리 위에 군림해계신다. 하지만 우리가 맹자를 공부하고자 하는 이유는 우리는 개돼지가 아닌 양심이 살아있는 지성인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는 생각하기에 따라 아주 단순하다. 인생의 즐거움은 무엇인가? 특히, 한 사회의 지성은 심 사숙해야 한다. 나의 지위와 권력과 부귀만이 즐거움이 아니라는 것을 더구나 그것이 양심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무력의 위엄에 자리했을 때 절 대 즐거움이 될 수 없다는 것을. 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