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6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6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렌드 코리아가 매년 발간된지 7년이 되었다는데 올해 처음으로 트렌드코리아를 읽게 되었다. 한치앞도 알 수 없는 현대를 살면서 작은 희망의 불씨라도 볼까하는 마음에 2016년 트렌드 키워드를 읽어본다.

  2015년은 불안한 현실에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단맛의 유행, 메르스로 인한 불안감, 진짜 실력에 대한 공정한 평가에 대한 바램의 산실 복면가왕, 페스트 사회에서 평범한 것의 가치를 발견한 삼시세끼 그리고 일상의 자랑질 sns를 위한 셀카봉이었다. 작년에 즐겨보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삼시세끼' '냉장고를 부탁해'같은 먹방이었고 일상의 자랑질로  책을 읽었다는 서평을 쓰고 있으니 원하던지 원하지 않던지 2015년 트렌드에 휩쓸려 왔다.

 

 2016년의 소비트렌드 키워드는 MONKEY BARS '원숭이의 재치와 날렵함으로 침체의 수렁을 건너뛰다.' 이다.

Make a ‘Plan Z’ ‘플랜 Z’, 나만의 구명보트 전략 

Over-anxiety Syndrome 과잉근심사회, 램프증후군 

Network of Multi-channel Interactive Media 1인 미디어 전성시대 

Knockdown of Brands, Rise of Value for Money 브랜드의 몰락, 가성비의 약진 

Ethics on the Stage 연극적 개념소비 

Year of Sustainable Cultural Ecology 미래형 자급자족 

Basic Instincts 원초적 본능 
All’s Well That Trends Well 대충 빠르게, 있어 보이게 
Rise ofArchitec-kids’ ‘아키텍키즈’, 체계적 육아법의 등장 
Society of the Like-minded 취향 공동체


 2016년 트렌드 키워드를 살펴보면서 경기의 침체의 그늘이 느껴진다. 최선과 차선을 선택하지 못했을 때 마지막 플랜Z , 풍요의 시대에 살아온 소비자들은 통장의 잔고가 비어있어도 최소한 삶의 질을 포기할 수 없다. 그래서 B급 상품의 소비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질을 포기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불안은 소비를 낳게한다. 소비자들의 불안을 부추겨 스스로를 지켜줄 상품을 선택하도록 조장하는 불안마케팅시장이 커지고 있다. 명품 마케팅이 먹히던 시절도 있었지만 브랜드는 곧 풀질이라는 명제가 흔들리며 같은 품질이라면 저가나 짝퉁이라도 상관없는 시대가 되었다. 브랜드보다는 합리적 가격과 좋은 제품을 선택하는 안목을 갖추었다기보다는 불황의 그늘에서 소유의 욕구를 채우는 또 다른 소비패턴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터넷과 SNS가 일상화되면서 사람들과 직접 만나 소통하기보다 SNS라는 창을 통한 만남을 더 좋아한다. 자신의 일상의 모습을 화려하게 포장하고 일상을 자랑질하는 것에서 더 발전된 모습이1인 미디어이다. 1인 미디어 제작자들은 짤방에 열광하는 젊은이를 대상으로 취향의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솔직함과 다양성으로 개성있는 컨텐츠를 개발하여 같은 취향의 사람들끼리 공유하고 소통한다. 정보들을 모아 전문가인것 처럼 자랑하거나 자신이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것들을 공유함으로 대리만족을 얻는다. 아무리 노력해도 안되는 가혹한 현대사회에서 대충 빠르게 있어보이도록 하기도 좋다.

   2016년도 불황의 그늘이 보인다. 정부가 내놓은 정책은 일반 소비자들은 제대로 실감할 수 없다. 세계경제의 둔화는 한국경제에도 크게 영향을 주어 사회적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경제적 불황이 정서적 안정마저 가져오지 않기를,  키워드의 말처럼 어려운 문제들을 지혜롭게 해결해가는 2016년이 되기를 바란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