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읽다 - 행동심리학으로 풀어 본 인간관계 해법
김재득 외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교사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DISC 성격검사를 받은 적이 있었다. 20여명의 교사가 간단한 테스트를 하고 같은 유형끼리 모여 토론을하고 발표하는 형식이었는데, 토론 주제가 문제가 아니라 토론하는 태도, 발표하는 태도를 관찰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형적인 목표지향형 인간인 극D로 판정되었다. 그때는 그저 프로그램으로 참여하게 되어 재미로 보는 심리게임처럼 여겼는데 책을 읽고 나서야 행동심리검사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 책을 열어 가장 먼저 해 본 일이 검사지에 검사를 해본 것이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또 극D형이 나왔다. 그 동안 공감하려는 노력을 얼마나 했던가...많은 책을 읽고 일이 아닌 사람중심으로 살아보려 애썼는데 근본적인 성격은 변하지 않는 모양이다.

  D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의 관심밖에 있는 것은 거들떠보지 않고 자신을 성장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공격적이고 사명감이 강하나 화가 나면 과격해지는 단점이 있다. 자신의 연약함을 가리기 위해 더욱 강함으로 위장한다는 말은 꼭 나를 지칭하는 말이다.

  행동심리학으로 본 성격의 유형은 크게 D I S C 로 나뉘고 또 여러 유형들이 섞여 다양한 성격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모든 성격유형검사가 그러하듯 성격의 선악을 구분하거나 절대적인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각 유형에는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고 인격의 성숙도에 따라 행동도 달라지게 된다. 모든 미성숙한 인격은 누구에게나 상처를 주거나 자신이 상처를 받게된다. 미성숙이 성숙으로 가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신의 성격유형을 잘 알면 자신을 다스리는 데 좋다. 뿐만 아니라 나와 다른 유형의 사람들을 만날을 때 상대방을 이해하는 폭을 넓힐 수 있다. 

  이 책의 특징은 유형별 특징만을 해설해주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어떻게 협조하고 이해할 수 있는지 자신의 성격유형을 어떻게 성숙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지 친절하게 제시해준다. 역대의 왕부터 대통령, 드라마나 영화 우화나 책의  주인공들의 예를 들어 심리학에 문외한 일반 독자들도 흥미를 잃지 않고 끝까지 완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드라마를 보지 않은 나는 별로 흥미없는 부분이었던 같다. 그리고 너무 친절하다보니 속담이나 동물까지도 각 유형속으로 분석해내고 있어 뭐 이런 것 까지 알아야하냐고 하며 슬쩍 페이지를 넘기고 싶어진다. 정조와 이명박 대통령의 성격유형은 모든 유형에 다 속해있어 행동심리학의 정확성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한다.  

  나 또한 일적인 부분에서는  극D형이나 어떤 면에서는 I S C의 부분도 가지고 있다. 모든 사람들은 대부분은 그러하리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통해 나를 돌아보고 나의 주변 사람들을 돌아보게 되었다. 나 때문에 힘들었을 친구들에게 카톡선물이라도 보내주어야겠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