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0대가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 잘되는 50대, 잘 안 되는 50대
김직 지음 / 북씽크 / 2015년 7월
평점 :
40대에 들어설 때 벌써 내가 40대가 되었다는 것을 믿고 싶지 않아 아주 긴 일기를 썼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벌써 50을 코 앞에 두고 있다. 시간은 나이와 비례하게 빨리 간다고 하더니 시간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듯 하다. 20대에 꼭 해야 할 일 이라던가 30대에 필요한 심리학 등을 읽으며 그 나이에 맞는 삶은 무엇인가 고민했었는데 벌써 50대를 준비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내가 상상하던 50대는 삶의 여유와 경제적 풍요를 누리는 시기라고 생각했는데 이제 얼마 남지 않았는데 너무 준비한 것이 없어 조급해진다.
50대는 제2의 인생을 준비하고 시작할 수 있는 시기임을 강조하고 있다. 찬란하게 빛나는 삶을 위해서는 자존감을 지켜야 한다. 자존감이란 '자신의 존재 가치를 존귀하게 여기는 마음'이다.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자신뿐이라고 여겨야 한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 행복할 권리가 있는 사람임을 명심하자.
인생은 단 한번 밖에 주어지지 않는다. 주어진 환경과 사람들에게 최선을 다하며 인생을 즐기는 것은 우리에게 단 한번뿐인 인생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50대에 꿈을 꿀 수 있느냐고? 50대야 말로 그동안 접어 두었던 꿈의 날개를 펼 때이다.
날마다 영혼의 푸른 안테나를 높이 세우고, 자신의 꿈의 주파수를 찾아라.
계획했다면 지금 바로 당장 실천하자. 나이는 숫자에 불구하기 때문이다. 꿈을 위해 열정을 불태우자.
불평과 불만이 가득 차있다면 나에게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주변을 돌아보고 자신의 인격과 행동을 점검하여 겸손하고 배우는 자세는 좋은 격려자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희망을 전도하는 사람을 곁에 두는 것만큼 행운은 없다. 앞으로 남은 인생을 지금보다 더 행복하게 살고 싶다면 자신의 주변사람들을 재정비하고 취할 사람은 취하고 버려야 할 사람은 미련두지 말고 관계를 끊어버린다.
낡은 마음과 생각을 버리고 기도를 통한 성찰을 꾀하고 기도를 통한 자기 성찰과 사유할 수 있는 종교를 갖을 것을 권한다. 곁에 있는 배우자를 이해하고 서로를 배려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인생의 첩경이 된다.
50대면 대부분 은퇴를 하고 다른 일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많아 사기꾼의 표적이 되기 쉽다. 요행을 바라며 쉽게 사람을 믿고 경험없는 사업에 뛰어들기 보다는 퇴직금을 보존하고 수입이 적더라도 자존심 따위는 버리고 적당한 일자리를 찾아보는 것도 좋다. 돈을 목적으로 하지 말고 자원봉사를 하는 것도 보람있는 인생을 사는 방법이다.
공부하는 습관을 들여 지적인 인생을 누리는 것은 스스로를 대접하는 것과 같다. 나이가 들어 지성미를 갖는다는 것은 진정으로 자신을 사랑하는 멋진 일이다.
지성미를 갖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독서이다. 읽고 기록하는 습관으로 자신을 매일 쇄신하는 것은 50대만의 미덕은 아닐 것이다.
긍정의 에너지가 넘치는 책이다. 포커스는 50대에 맞추어 있지만 어느 세대에나 적용되는 이야기들이다. 자기개발서에 자주 등장하는 유명한 사람들의 예화 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이들을 주인공을 삼은 구체적인 예화가 재미있다. '나도 그런 적 있는데'하며 공감하며 읽고 '어머~ 부럽다.' '이런 인생 좋구나' '어쩌나 ....' 우리 이웃의 이야기인 것만 같아 마음 속으로 응원하고 안타까워하게 된다. 기회가 된다면 저자의 강연도 듣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덕분에 50대를 맞이할 마음가짐을 조금은 배울 수 있었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