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는 십대를 위한 고전 콘서트 고전 콘서트 시리즈 2
김경집 외 지음 / 꿈결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문하는 십대를 위한 <고전 콘서트>를 읽으면서 여러가지 사정으로 4-5권의 책을 함께 읽게 되었다. 2권 정도는 함께 읽은 적은 있어도 이번처럼 한꺼번에 여러 권의 책을 읽은 적은 없었던 것 같다. 공교롭게도 비슷한 인문학과 고전을 다루는 책들이어서 함께 비교하며 읽을 수 있었다.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 <고전콘서트>의 뒤를 잇는 이번 책에는 생텍쥐베리의 <어린왕자>, 제러드 다이아몬드 <총, 균, 쇠>,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애덤 스미스 <국부론>, 윌리엄 세익스피어 <헴릿>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사마천의 <사기>가 소개되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강연을 묶은 글들이어서 여러 권의 책을 읽고 있는 기분이었다.​

 

  고전이란 무엇인지 왜 우리에게 고전이 필요한가에 대한 시작으로 <어린왕자>를 ​선택한 김경집 교수님의 강연은 십대들 간의 권력이 어떻게 형성되며 그 권력이 폭력으로 변하며 그 폭력에 길들여진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사회의 문제로 화두를 던진다.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고전에서 찾아보고, 지식이 아닌 삶을 바꾸는 지표로 삼자고 말한다. 고전을 읽을 때 고전의 시간과 공간까지도 읽어야 한다. 역사는 시간의 학문이라는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시간이 없다면 역사도 역사를 담는 고전도 없을 것이다.

 <어린왕자> 하면 기억나는 것, 그것은 이름이다. 이름의 의미 관계맺기의 시작이다.  "불행에 많은 이름을 붙인다면 내 삶은 불행으로 가득할 것이고 행복의 이름을 유통할 때 행복해질것이다."라는 장결철 교수님의 강의가 생각이 났다. 나의 인생에는 어떤 이름과 의미가 있는 관계들이 있는지 생각에 잠기게 된다.

  어린왕자, 우리 마음 속의 어린왕자가 진정 찾고자 한것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진정한 자아라고 말한다. 내가 처음 <어린왕자>를 읽었던 건 12살이었다. 고등학생이었던 언니의 책장에 꽂혀 있던 얇고 만만해보이던 책이었다. 그리고 40대 중반이 된 지금까지 몇 번이고 되풀이해 읽게 된 책이기도 하다. 많은 해제들과 다양한 강연에 인용되어진 <어린왕자> 그들이 만난 어린왕자 말고 내가 만난 어린왕자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

 

 <총, 균, 쇠>가 서울대 필독이라고 해서 도서관에서 빌렸는데 두껍고 작은 깨알 글씨에 주눅이 들어 그만 몇 페이지 뒤적이다 말았다. 이 두껍고 어려운 책을 과연 10대들이 읽을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그런데 이렇게 쉽고 명쾌한 해제라니 세계사를 바라보는 눈을 뜨게 해준다. 용기를 내어 구입했다. 두고 두고 1년이 걸려서라도 읽어보리라 결심하게 만들어 주었다. 서구 중심의 역사, 철학, 인문학, 종교를 너무나 당연하게 여기며 살아왔었다. <멋진 신세계>에서 태아 때부터 수백번 반복된 세뇌교육으로 아무 갈등없는 세상을 만들어 낸 것처럼 서구의 생각들이 진보적이라고 생각하며 살아왔다. 인문학을 공부하며 나이들어 세상을 보는 눈을 뜨게 된 후 이제서야 조금씩 눈을 뜨게 되는 듯 하다. 10대에 이런 명쾌한 강의들을 들을 수 있었다면 고전을 읽으며 자랐더라면 세상을 보는 지혜가 더 커졌을지도 모르겠다.

 <사기>는 초등학교 시절 고우영 선생님의 <십팔사략>으로 처음 읽게 되었다. 고우영 선생님의  사마천의 이야기는 중국의 재미있는 옛 이야기였다.  최근에 읽었던 책에서도 <사기>를 소개 되었는데 그 때는 그저 지식으로 읽었던 것 같다. 김영수 선생님의 글을 읽는 내내 <사기>에 대한 높은 열정이 느껴졌다. 어떤 사람이 말하느냐에 따라 이렇게 다르게 느껴질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들이 잘 못 이해하고 사용되는 것이 많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사기>는  중국의 서사시의 시작, 문학의 시작이라고 주장하신다. <사기>는 3000년 역사의 압축파일이라는 말에 나도 그 압축파일을 풀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고전, 인문학의 열풍이 ​불고 있다. 실용서나 소설이나 읽고 있던 나도 인문학에 기웃대고 있으니 말이다. 모든 강의 마지막은 10대들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마무리 된다.

  <데미안>에서 한 학생이 질문한다. "알을 깨고 나온 세계는 새로운 세계인 동시에 언젠가 또다시 깨야 할 세계입니다. 그 과정은 끝없이 반복될까요?"

 지혜로운 선생님은 이렇게 대답한다. " 더 나은 자신을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며 걸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불행은 삶의 정답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자기 성장과 발전에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는 태도에서 시작된다"

  고전을 읽으며 나의 껍질을 벗고 다른 세계로 나아가는 삶에 대해 고민하게 되리라. 우리의 10대들에게도 또 나에게도 진정한 행복의 길을 알려주는 고전이라는 멘토들이 있어 참 다행이다.

-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