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인문학 - 공부하는 엄마가 세상을 바꾼다
김경집 지음 / 꿈결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이라면  아이들의 책 읽기에 무척 신경을 많이 쓴다. 편독없이 각 장르의 책을 골고루 읽어야하고 학년에 맞는 필독은 꼭 읽어야 하고 교과관련도서도 찾아서 미리 예습도 해야한다. 하지만 정작 부모들은 얼마나 독서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나부터 서평을 쓰거나 직업상 필요한 책 외에 나만을 위한 독서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반성해본다.

  최근에 인문학 관련 책 몇권을 읽다가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엄마를 위한 인문학 책을 만나니 반가움이 앞선다. '엄마 인문학' 은 글로 먼저 쓰여진 것이 아니라 강의를 모은 책이라 형이상학적인 표현이 적고 강의를 듣듯 술술 읽을 수 있었다. 다른 인문학 책과 다르게 문학, 철학, 예술, 역사 뿐만 아니라 정치와 경제도 인문학으로 묶어 설명한다.

  인문학이란 결국 사람이 사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그럴듯한 교양이나 지적 만족만을 주는 것이 아닌 과거와 현재의 자신을 돌아보고 재구성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닌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면서 현실을 분석하고 미래를 가늠하는 것이다. 희망이 사라진 교육과 경제와 정치 등 우리 사회 문제를 하나씩 제시한다. 우리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정치 관료적인 문제부터 미처 의식하지 못했던 서양식 세계사까지 날카로운 비판과 함께 무엇을 고민해야하는지 문제를 제시한다.  그리고 해결방법으로 엄마들이 먼저 깨우치고 연대해서 사회를 바꿀 수 있다.

  우선 제대로 된 역사의식을 갖어야 한다. 최소한 우리 아이들은 더 나은 세상에서 살기를 바라는 것, 그것이 바로 역사의식이다
과거와 오늘의 연결을 살펴보고, 또한 지금  미래를 그릴 수 있어야 한다. 

 철학의 시작은 ‘자유로운 개인’을 회복해야 한다. '우리'를 강요하는 학교와 사회의 잘못된 학습으로 인해 '개인'을 상실했다. 물질과 그릇된 욕망에 함몰된 자아를 되찾는 것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출발점이다.
 예술은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다. 예술가들은 그들만의 예민한 감각으로 시대 상황을 앞서 보여  주기 때문에 예술 작품은 감상의 대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를 알 수 있다. 특히 랩이나 현대 미술 속에 담겨 있는 자유와 저항의 시선으로 현실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정치는 정치가들만의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과 직결되기 때문에 정치를 모르면 그들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 없다. 경제는 절대다수의 이익으로 만들기 위한 오랜 고민과 투쟁으로 이루어졌다.  정치와 경제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며 정치와 경제를 알아야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
 문학은 역사와 철학, 예술, 정치, 경제를 통합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한 편의 시는 우리의 하루를 변화시키고, 좋은 소설과 수필은 현실과 세상을 자연스럽게 드러낸다. 읽기 어렵고, 읽지 않는 희곡은 상상력과 창조력이 집합체이므로 1년에 한권쯤은 읽어보기를 권한다.

 결국 인문학이란 하나의 문서화된 과거와 현재의 지식이 아닌 나를 바꾸고 삶을 바꾸고 세상을 바꾸는 가장 훌륭한 도구인 것이다.

  물질적 풍요와 조화되는 정신적 삶과 균형을 맞추는 혁명은 엄마의 서재에서 부터 시작해야 한다. 

  세계의 정세와 정치 경제 등 큰 아웃라인을 그릴 수 있어 유익했으나 수많은 문제 제기에 가슴 답답함은 부인할 수 없었다. 어쩌면 다 알고 있으나 체념한 탓일까 아니면 아직 나에게 닥친 현실이 아니라고 눈 감고 싶은 마음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엄마가 바뀌어야 세상이 바뀔 수 있다는 유혹에 '남들 하는 것 좀 보고 생각해볼께'하는 얌체같은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실천하는 독서의 덫에 걸린 느낌이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