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전에서 길을 찾다
김건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고전이란 무엇일까? 인생살이에 필요한 지혜가 담고 있으며 시대가 바뀌어도 바뀌지 않는 진리를 담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한번쯤은 꼭 읽어봐야지 하고 <논어> <장자>니 하는 책을  여러번 읽어보려 시도해보지만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는 자괴감을 겪는다.

  특히 중국 고전은 한국사를 공부하다보면 많이 등장하는 철학으로 한번 쯤 꼭 공부하고 싶다는 열망에 사로잡힌다. 그래서인지[중국 고전에서 길을 찾다]라는 책을 만났을 때 어려운 중국 고전이라는 바다로 가는 보물지도라도 발견한 듯 기쁘게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장자, 노자, 손자, 맹자를 비롯해 삽십육계 정관정요까지 어려운 한자로 쓰인 방대한 중국 고전 20편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 써  중국 고전의 입문서로 부족함이 없다.

 어려운 한자말은 음독과 훈독은 물론 뚯의 해석과 그 말을 우리말로 풀어서 해설해주어 정확한 뜻 뿐만 아니라 한자말을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일반상식과 고사성어등 어휘력을 키우기에 부족함이 없다. 예를 들어 <노자> 중 '무위이화(無爲而化)'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교화한다는 뜻으로, 억지로 꾸미지 않는 모습을 보여야 백성들이 진심으로 따르게 된다는 말이다. 없을 무(無)  활 이(爲 ) 어조사 이(而 )될 화(化) 바꾸어 말하면, 백성들을 교화할 때 간 꾀를 부려서는 안 된다는 의미가 된다. - 한자말에 두려움이 있는 독자로서 이렇게 친절한 해설에 감사하며 읽었다.

  어쩌다 보니 <삼국지연의>를 여러번 읽었던지라 검증받고 싶은 마음으로 삼국지 부분과 제갈량 부분을 가장 흥미있게 읽게 되었다. <삼국지연의>는 워낙 흥미진진한 스토리에 수많은 영웅들의 영웅담 속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진정한 리더란 덕이있어야 한다.'라는 평이한 감상을 정답인냥 가지고 있었다.  <삼국지연의>의 모티브가 된 <삼국지>는 1800년 전의 위, 촉, 오 등 세나라 가 서로 치열하게 싸우고 뜨거운 공방전이 벌어질 때마다 인간의 욕망과 원한 , 음모와 지략이 난무하는 파란만장 영웅들의 이야기다.

  역사상 최고의 간웅으로 손곱히는 조조는 세상 사람들이 도덕적 잣대로 내리던 평가를 대체로 무시해 버리 인물이어서 비열하고 잔인하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적장 자신은 그런 평가에 연연해 하지않으며 자기 방식대로 간사한 술책을 부려 유비와의 전쟁에서 80%의 승률을 보였다고 한다. 조조가 현대의 정치인으로 태어났다면 어떤 방식을 써서라도 4선 의원쯤은 끄떡없이 당선되고 자신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고 정치적 명분 따위는 버리고 철따라 옮겨다니며 권력의 최우두머리가 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상상을 한다.

  주로 조조와 유비에 대한 평가가 많은데 이 책에서는 손권 또한 실리를 추구하는 또 다른 영웅상을 제시하고 있어서 손권이 등장하는 적벽대전 부분을 다시 한번 읽어보리라 생각했다.

    장자와 맹자 순자 등 몇 편은 다른 해설서로 읽은 적이 있어 다이제스트를 읽는 듯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었고, 삽십육계, 손자, 육도, 삼략등 많이 들어보았지만 평생 읽으려는 시도조차 못해본 고전까지 맛보고 나니 중국 고전의 바다에 발가락 끝을 살짝 담근 것 같다. 언제가 그 바다에 헤엄치기를 바라며...인생을 살아가면서 길을 잃을 때마다 내가 가기로 한 길에 대해 의문이 생길 때마다 곁에 두고 뒤적이고 싶은 책인다. 어느 한 구절이 나를 인도해주리라 믿으면서 말이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