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 육아를 회사에서 배웠다 - 글로벌 기업 16년 경력 워킹맘들이 전하는 육아 경영 노하우
김연정.정인아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2월
평점 :
글로벌 기업 16년 경력 워킹맘들이 전하는 육아경영 노하우라는 책이란 설명답게 육아도 또다른 직업이라 생각하고 기획하고 운영하는 엄마들의 기록이다. 일도 잘하고 아이도 잘 키우고 싶은 마음에 읽었던 육아서적으로 좌절감을 맛보았고, 책 내용대로 따라하고 싶었지만, 물리적 시간이 허락하지 않거나 뜻대로 되지 않아 자신만의 육아 노하우를 만들고 실천한 똑똑한 워킹맘들의 육아서다.
'엄마는 슈퍼맘이 아니다'라는 것을 명제로 도움 받아야 할 것은 도움 받고 자신이 할 수 없는 부분은 과감히 포기한다. 아이는 엄마만의 몫이 아니니까 아빠와 또 도움을 주는 가족들과 함께 키우는 것이 당연하다고 이야기 한다. 그리고 일하는 엄마로서의 죄책감 따위는 던져버리고 그 에너지를 긍정적으로 활용하자는 엄마들의 활기찬 모습이 가득하다. 그래서인지 읽는 내내 나도 일하는 엄마로서 동질감을 느끼고 좋은 기운을 받는 것 같았다.
글로벌 회사 16년차 직장인답게 프로다운 일 솜씨와 경영 노하우에 대한 예가 많이 실려서 있어 이 책이 육아서인가 할 정도이다. 3/2는 자기 개발서 같은 느낌이랄까? 자기의 직장경험을 육아에 적용시켜 책읽기와 논술과 영어, 시간관리, 정리정돈 등의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어 일반 육아서와는 다른 특별함이 느껴진다.
그런데 그 특별함에 조금 기가 죽는다. 1년에 한두번 쯤 외국여행도 할 수 있고 가정 환경, 스케줄를 관리해주고 집안 일도 도와주는 도우미를 면접까지 보고 채용할 수 있는 워킹맘이라니 부럽기까지 하다.
비슷한 처지의 워킹맘에게는 좋은 지침서가 될 듯하다. 모든 가정이 도우미 도움을 받으며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것은 아니다. 여러가지 형편으로 육아가 엄마의 몫으로 남겨진 워킹맘들을 많다. 새벽에 일어나서 아침식사 준비부터 아이들 등원까지 눈코 뜰새 없고 어린이집이나 아이돌봄교실에 가장 늦은 시간까지 맡겨놓아야만 하고 아이가 아프거나 어린이집 행사로 등원할 수 없으면 가까운 친척집이나 지인의 집을 전전하고 부부가 함께 일해도 도우미는 커녕 변변히 여행할 수 있는 형편이 안되는 가정도 많이 보았다. 일을 한다고 모두들 글로벌 회사에 다니는 것은 아니니까 말이다. 최선을 다해야 먹고 살고 아이들의 학원비정도 충당하는 가정들도 많기 때문이다.
가끔 아이를 키우는 지인들이 육아서 추천을 부탁할 때가 있다. 이런저런 육아서를 추천해주면서 읽으면 다 도움이 되는 이야기이지만 우리는 그들처럼 똑같이 할 수 없다. 우린 그 엄마도 아니고 우리 아이는 그 아이가 아니니까 100사람이면 100사람 다 다른 게 육아다. 참조할 부분한 참조하고 배울 부분만 배우라고 조언하고 한다. 아마 아는만큼 실천하지 못하는 내 자신에게 하는 자조 섞인 변명일지도 모르겠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