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시멜로 테스트 - 스탠퍼드대학교 인생변화 프로젝트
월터 미셸 지음, 안진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몇 년 전 <마시멜로 이야기>라는 책이 큰 인기를 얻은 적이 있었다.  현재의 만족을 위해 마시멜로를 먹을 것인가 아니면 미래를 위해 남겨둘 것인가? 읽기 쉬운 동화형식의 책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고 싶었기 때문일 것이다.

 새해 첫날 다이어리 첫 장에 수많은 결심들은 쓴다. 지난 수첩을 정리하면서 살펴보니 성공한 일도 있고 실패한 것들도 눈에 띈다. 실패한 것들은 늘 해마다 반복되어 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마시멜로 테스트' 는 1960년대 후반 스탠포드대학교 부설 빙 유아원에서 처음 시행되었다.  아이들에게 눈앞의 마시멜로를 15분 동안 먹지 않고 참으면 15분이 지난 후 1개의 마시멜로를 더 주겠다고 제안하는 내용의 실험이다.  월터 미셸 박사는 유혹과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은 자제력 또는 의지력, 즉 자기를 통제하는 문제라고 한다.  50여 년간을 마시멜로 테스트를 하면서 자제력은 타고나는 게 아니라 후천적 노력에 의해 키워나갈 수 있으며  장기적인 목표를 성공적으로 추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마시멜로 테스트에서 15분을 참은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긴 시간에 걸친 추적 조사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마시멜로의 유혹을 견딘 아이들은 성인이 돼서도 자신의 자제력을 아이들에게 계승시키고, 훌륭한 부모, 사회에서 인정받는 사람으로 나이 들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운명은 유전자에 새겨지는 것일까?  우리의 뇌 구조가 DNA에 의해 이미 불변으로 확립되어 있다기보다는,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유연성과 가변성을 갖추고 있다.  그 덕분에 우리는 삶의 방식에 변화를 가함으로써 운명을 형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잇다.

  아이들과 어른들에게 자제력을  길러주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 전전두피질을 계획적으로 활용해 차가운 억제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뜨거운 충동 시스템을 단속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우리는 스스로 원하는 삶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자신만의 목표를 발견하기를 원한다. 목표를 성공적으로 추구하려면 자기통제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기통제는 '노력이 필요한 통제'로 인식될 때 몹시 괴롭고 힘겨운 노역이지만 이를 꾹 참고 단호하게 헌신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자제력 기술은, 인지적 기술이든 감정적 기술이든 학습하고 개선해서 필요할 때 자동으로 활성화 되도록 만들 수 있다. 자제력 기술은 향상시킬 수 있고 우리 아이들이 더 나아지도록 도울 수 있다.

 결국 인간의 본성과 자제력은 타고나는 것보단 후천적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50여년의 실험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책의 마지막 장에 한 일화가 나온다. 5편의 소설을 썼지만 별로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결혼도 하지 않은 채 단기간 연애만으로 살아가는 어느 가난한 소설가가 경제적으로 성공한 형과 자신을 비교하며 형과 자신이 어렸을 때 마시멜로 실험을 했다면 형은 절제력을 발휘해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렸을 것이고 자신은 아마 먹어버렸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저자는 그 소설가 또한 자신에게 맞는 절제의 미덕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 한다. 성공이란 꼭 경제적인 것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창의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절제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아마 이 책을 끝까지 읽지 않았다면 성공의 삶이란 무엇인가로 생각에 잠겼을 것이다. 성공이란 자신의 원하는 삶을 사는 것 그렇게 바꾸어 가는 것이라고  "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바뀔 수 있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