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때 장자를 만났다 - 내 인생의 전환점
강상구 지음 / 흐름출판 / 2014년 11월
평점 :
답답한 세상 규범 속에 갇혀 사는 우리에게 장자는 뜬구름 잡는 우화들로 인생에 대해 나와 너, 우리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천년이상을 공자의 가르침으로 살아온 우리는 인간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을 예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예의가 옳다, 그르다의 잣대가 되어 차별의 수단이 되는 순간, 예의는 더이상 덕목이 아닌 폭력이 된다. 우리의 삶의 모습을 보면 자신만의 생각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내가 선택한 것은 옳고 진리이고 바르다는 것에 추호의 의심도 없다. 하지만 내가 선택한 길만이 옳은 것이 되면 다른 사람의 선택한 것이 틀린것이 된다. 절대 선한 것이 있을 때 절대 악한 것도 있다. 나누고 가르는 습관이 '같음'보다는 '다름' 어느새 '다름'은 '틀림'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장자는 이분법을 거부한다. '이것'이 있어야 '저것'이 있고, 너가 있어 내가 있다.
우리는 다른 것을 틀리다고 이야기 한다. 그러다 보니 세상을 꼬아 보는 버릇이 생겼다. 곧은 나무는 곧은 나무대로 굽은 나무대로, 긴다리의 학은 학대로, 짧은 다리의 오리는 오리대로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역할을 하며 자신의 몫을의 인생을 열심히 살아가는 것이다.
장자가 말하는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말은 세상을 버리고 산으로 들어가라는 말이 아니라 세상 속에서 나 자신의 본성을 찾고 상대의 본성도 존중하고 상대를 인정하자는 것이다.
행복은 혼자의 노력으로만은 이루어질 수가 없다. 다른 사람도 변해야만 한다. 관계의 변화 곧 사회의 변화이다. 장자는 세상속으로 들어가 다 함께 잘 사는 사회를 만들자고 한다.
<장자>를 읽지 못했다. 그래서 저자가 설명한 내용이 맞는지 틀리는지 알지못한다. 제품은 보지도 못한채 360페이지가 넘는 설명서를 읽은 셈이다. 하지만 아주 재미있고 지적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내용으로 가득차있다. 장자를 이야기하지만 천년전에 화석과 같은 존재의 장자가 아니다. 서양철학과 현대 이야기를 적절하게 섞어서 읽기 쉽지만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다. 수 많은 서양철학자들의 철학이 동양철학 그것도 장자의 철학과 맞닿아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기도 하다. 어쩌면 작가의 주관적인 생각으로 짝을 이루는 이야기들을 찾아오거나 임의대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꽤 설득력이 있어 읽는 내내 몰입하며 어느새 장자의 주장에 물들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장자의 주장대로라면 예의를 지키고 살던지 제 멋에 살던지, 세상의 단 하나의 진리가 있다고 믿고 살던지 자기 잘난 맛에 살거나 이기적으로 살거나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그것 또한 하나의 인생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것을 '틀리다'가 아닌 '다르다'라고 바라보아야 한다. 모든 사람들이 세상에 뛰어들어사랑, 용기 관용, 신뢰.....하는 마음을 안 갖고 살면 어떤가 말이다.
엄두를 못내었던 <장자>의 철학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만족한 독서였다.
- 출판사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주관적으로 서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