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장 담그는 아버지 - 한국사 속 두 사람 이야기 10살부터 읽는 어린이 교양 역사
윤희진 지음, 이강훈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시간에 한번쯤은  들어봤을 위인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업적이나 저서들을 외우며 만났던 위인들이
자식을 사랑하는 아버지로 우애를 나누는 형제와 남매로
서로를 성장하게 하는 친구로, 스승으로서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시험때 그의 저서를 외우느라 힘들었던 박지원은 책속에서 만날 때처럼 근엄한 선비의 모습과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고추장과 반찬을 만들어 보내며 맛의 평가를 해달라는
모습이 우리 친정아버지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
우리 아버지도 딸들을 위해 라면을 끓이거나 소고기 전골을 해주시곤 했는데
딸들이 맛있다고 하면 흐믓해하시던 모습이 기억이 난다
서로의 사랑이자 친구였던 남편과 아내 유희춘과 송덕봉의 삶은 보면 조선시대의 부부였다는 사실이
믿기지않을 만큼 현대적인 그들의 대화를 보며 지금의 나의 부부생활을 돌아보게 되었다
남편은 아내를 존중해주고 아내는 남편을 존경하는 모습이 가슴 뭉클하게 다가온다
특히 남편이 아내를 위해 자신의 저서에 아내의 글을 실어주는 모습은 현대에서도 찾아보기 힘들지 않을까 한다
신사임당과 이율곡의 이야기는 너무 유명하니 생략하고
허난설헌과 허봉, 허균 남매의 우애는 서로를 지켜주는 힘이었다
그렇게 재주많은 남매들이 있을까 그리고 그렇게난 불행했던 삶이 있었을까
허난설헌의 이야기는 읽을 때마다 같은 여자로서 어미로서 가슴 아프다
그래서 그녀의 시가 더 절절하게 느껴진다
어린시절 어린이 드라마로 만화로 또는 동화로 가장 많이 접했던
오성과 한음의 주인공 이항복과 이덕형 이야기
나는 그들이 어린시절부터 동갑내기 친구로 알고 있었는데
관리로 등용되면서 동기가 되었고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내가 알고 있는 역사적인 오류들이 얼마나 많을까하는 상념이 잠깐 지나간다
어렵고 어지러운 세상을 함께 헤쳐나가며
가끔은 유쾌하고 가끔은 고단한 삶의 동반자가 되어 나라를 위해 애쓴 그들
자신을 알아주는 지기로서는 한음이 더 나은 듯하다는 오성대감의 말을 기억하며
우리 아이들에게도 이런 우정을 키울 수 있는 친구들 만나고 또 그런 친구가 되기를 기도해본다
실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익과 역사를 재해석한 안정복의 짧은 만남이
평생의 스승과 제자로의 연을 이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얼마나 많은 인연들이 이 역사를 만들어왔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위인들의 업적을 나열하고 영웅화시키는 다른 위인전들과는 달리
 아버지로서 스승으로서 부부로서 자식으로서 친구로서의 모습을 볼 수 있어
그들이 세운 업적이 더 위대해 보이고 그들의 삶이 어떤 업적보다도 더 훌륭하게 느껴진다
부모는 삶으로 가르친다는 말처럼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위인이 아닌
삶으로 가르치셨던 위인들의 다른 면들을 읽을 수 있어 좋았다
그러다보니 좀 짧고 단편적인 느낌이 들어 아쉬웠다
그들의 정겨운 이야기를 더 듣고 싶어서일것이다
정성들인 삽화와 위인들과 연관된 장소 사진, 그림들도 함께 볼 수 있어
이야기가 더 생생하게 전달되는 느낌이었
아이들에게 영웅화된 위인을 전하지 않고 삶속의 위인을 만날 수 있는 좋은 책을
읽게 되어 감사한 마음이다
아이들과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어보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