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처한 경제 이야기 2 : 시장과 교역 편 - 우리는 왜 사고팔까? 난처한 경제 이야기 2
송병건 지음, 매드푸딩 그림 / 사회평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가 간의 무역이 단순히 교역의 의미가 아닌 수많은 복합적인 자국의 이익과 문제들이 얽혀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세계가 이제는 함께 공존해야 하는 시대에 각 나라가 자국의 이익만이 아닌 서로 협력해야 함을 인지하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해결책울 찾아갈 수 있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처한 경제 이야기 1 : 기본 편 - 경제와 친해지는 준비 운동 난처한 경제 이야기 1
송병건 지음, 매드푸딩 그림 / 사회평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와 지리는 좋아했지만 사회, 정치는 싫어했던 나
하지만 우리 사회를 이해하는데 경제를 빼고 생각할 수 없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를 모른다면 뒤처질 수밖에 없는데 그 동안 너무도 외면했고 어려워만 했던 분야, 경제...
이제서야 기본부터 차근차근 공부해보고자 선택한 책
친절한 설명과 세세한 예를 통해 쉽게 경제의 기본을 배울 수 있어 만족하며 읽었다.
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한 발을 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루지 - 생각의 역사를 뒤집는 기막힌 발견
개리 마커스 지음, 최호영 옮김 / 갤리온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클루지... 세련되지 않은 해결책
진화론적 관점에서 분석한 인간의 특성.
창조주에 의해 완벽한 모습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오랜 세월 속에서 진화해온 인간이기에 현대사회에 불필요한 선사시대의 특징을 아직도 지니고 있으며 본능에 따라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반응하는 기제가 남아있다는 관점이 신선했다. 왜 인간은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데 이타적이지 않고 함께 행복할 수는 없는지에 대한 의문이 진화론적 관점에서는 어느 정도 설명이 된다. 앞으로 진화심리학과 같은 학문에 좀더 공부를 해보고 싶다. 인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사의 神 (200쇄 기념 블랙 에디션) - 일본 요식업계의 전설이 들려주는 장사의 모든 것 장사의 신
우노 다카시 지음, 김문정 옮김 / 쌤앤파커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사...나와는 전혀 거리가 먼 직업이라는 생각에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었지만 이 책을 통해 장사란 무엇이며 어떤 태도로 임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었고 장사뿐 아니라 내가 몸담고 있는 일에서 소위 성공을 하려면 그 일을 즐기며 끊임없이 연구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사실은 틀림없다. 이젠 장사를 하는 어느 상점을 가던 다른 눈으로 살펴볼 것 같다.
성공의 길은 어쩌면 그 일이 무엇이든지 그 일을 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가장 크게 좌우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자의 그릇 -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는 법
이즈미 마사토 지음, 김윤수 옮김 / 다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살아가는데 돈은 가장은 아니지만 정말 필요하다. 돈이 있으면 더욱 풍여로워지는게 삶이라는건 사실이니까... 우리 모두는 돈을 벌기를 바라고 나또한 많은 돈을 벌고 싶어한다. 하지만 돈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은 없다. 돈을 다룰 그릇이 되지 않은 사람이 돈을 갖게 되었을 때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또한 돈에 지배를 받게 되면 어떻게 되는지 깊이 생각해보지 않은채 돈 벌기에만 급급한 것이 사실 우리 모두의 모습이다. 실패하지 않고는 배울 수 없고 그 실패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지 않은 성공은 없다. 돈을 벌고 싶다면 돈을 제대로 알고 용기를 가지고 도전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다시 도전한다면 언젠가 자신이 원하는 성공의 길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