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한쪽 눈을 뜨다 문학동네 청소년 7
은이정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장소설은 자신의 과거를 추억하며 읽을 수 있고 쉽게 읽히는 장점이 있어

특별히 가리지않고 읽는 편이다.

어릴 때의 순수함, 그리고 가족이나 친구, 혹은 자신의 대한 고민, 꿈을 향한 도전 등 성장기에 겪는

아픔들은 아름답게 느껴진다.

팀 보울러 작가의 소설처럼 순수함을 내비치는 소설도 있지만 은희경 작가의[새의 선물] 처럼

전위적인 책들도 있다. 최근 [손톱이 자라날 때] 소설을 읽고 파격적인 스토리와 공포감마저 자아내는

주인공들의 모습 속에서 성장소설의 다른 면모를 볼 수 있었다. 누구나 자라나는 손톱의

날카로움은 타인을 위협하고 상처를 입히는 도구였다.

[괴물, 한 쪽 눈을 뜨다]는 제목에서 보여주듯 성장기 소년들의 내면에서 자라는 괴물의 모습을

세 명의 인물들 통해 그려냈다. 양쪽이 아닌 한쪽 눈이라는 것은 선과 악이 공존하는 이중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다른 성장소설과의 차별성을 느낀 것은 집단따돌림의 대상인 영섭이 읽는 [사바나에 사는 동물들]

이란 책에서 였다. 마치 정글과도 같은 약육강식의 세계, 먹이피라미드의 관계를 책을 통해 말하고 있었다.

상대방을 물어뜯는 아이들 속에서 담임은 자신이 가장 위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아이들을 대했다.

영섭은 껑충 큰 키, 꾸부정한 어깨,느리고 어눌한 행동으로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한다. 영섭은 교실 속

아이들을 하이에나, 악어, 코끼리 등으로 비유하였고 자신이 숨고 싶을 때 변할 동물들을 생각하며

책에서 그 동물을 찾고 변신하기위해 동물들의 모습을 기억하려 했다. 황라사마귀가 되고 싶다고 하고,

자신을 기린이라 말하고, 고기는 먹지않고 풀과 과일만 먹는 평화를 좋아하는 사자라고 말한다.

세번째 인물, 이 반의 반장인 태준은 담임에게 영섭을 지켜달라는 말을 듣지만 영섭을 바라보며

오히려 속으로는 자신도 영섭에게 폭력을 가하고 있었다. 태준은 완벽히 이기적인 사람이 될 뻔뻔함도

정의로운 사람이 될 용기도 갖지 못했다. 하루하루 자신의 몸을 지키며 살아가기도 버거워했다. 

영섭을 괴롭히는 아이들에게 당당히 말도 못하고 오히려 야한 동영상을 보는 자신의 약점을 노출시키는

바람에 놀림거리가 되고 감추었던 자신의 욕망을 영섭을 통해 표출하기도 한다.  

작가는 세 명의 인물들 외에도 반 아이들의 행동을 통해 다양한 태도를 보여주었고 각기 다른 아이들의

부모의 모습 속에서 잘못된 교육을 꼬집기도 하였다.

이 소설에서 주된 사건과 내용은 집단따돌림과 성적호기심에 있다. 영섭과 태준은 자신 안에 있는 괴물,

절대 밖으로 드러낼 수 없는 속마음을 다른 사람이 알게 될 까 두려워한다.

영섭, 태준, 담임의 모습과 아이들의 모습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모습이 맞다. 이것보다 더한 경우도 발생하는

요즘이지만 책을 읽으며 아쉬웠던 부분이 많았다.

이 책에서 정의란 존재하지않았다. 태준, 영섭, 담임 모두 한쪽으로만 치우친 극한 인물, 가해자였다.

그들은 소설이 끝날 때까지 변하지않았다. 영섭을 향한 따돌림은 다른 양상으로 계속 발전했고

태준에게 짐승은 태준 곁에 계속 있었다. 그리고 영섭은 가시두더지가 된다. 가시가 되어 자신을 괴롭힌

정진에게 달려들고 자신보다 약한 아이의 물건을 뺏기까지 한다.

작가는 초원이라 숨을 곳이 없는 사바나의 모습만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 안에 희망이란 존재하지않았고

한쪽 눈을 뜬 괴물은 아이들과 계속 공존하고 있었다.

영섭을 도와주려고 하지만 오히려 반 아이들에게 과한 폭력을 휘두르는 담임, 공부를 하면서도 야한 동영상을

보며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는 태준, 괴롭힘을 당하다 오히려 가시두더지가 되어버린 영섭.

괴물로 변해가는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하고 보통의 아이들처럼 보이기를 원하는 부모의 욕망.

따돌림을 당하는 영섭과 그런 아이들을 통제하는 담임, 자신의 위치를 명확히 찾지못하고 오히려 결론에

도달해서 태준에게서 자라난 짐승은 영섭에게 달려들어 물어뜯고 교실에 내동댕이친다.

다른 위치에 있는 세명의 인물을 통해 시각을 달리한 설정과 사바나의 동물들로 비유한 것은 독특한 발상이었지만

그 안에서 이상적인 방법이란 존재하지않았다. 누군가 변하거나 혹은 그들과 다른 성격을 가진 또다른 인물이

있었다면 어떠했을까.

책을 다 읽은 후 괴물을 어떻게 생각하고 판단해야할 지, 순수하게 받아들일 수 없는 현실에 씁슬한 감정은 계속

남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