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질문할 것인가 - 나만의 질문을 찾는 책 읽기의 혁명
김대식 지음 / 민음사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계는 언젠가 우리에게 물어볼 수도 있다. 왜 자신이 인간의 명령을 따라야 하느냐고. 보스트룀 교수는 기계가 언젠가 질문할 수 있는 이 위험한 질문에 우리가 먼저 답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계는 무엇을 원할까? 왜 기계는 사람을 위해 일해야 하는가? 왜 인간은 존재해야 하는가? 이 거대한 질문들에 답할 수 없다면, 우리 인류의 미래도 없다는 말이다."


우리는 많은 책을 읽지만 막상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저는 김교수의 <빅 퀘스천>을 관심 깊게 읽었고, 최근에 언론 매채 등을 통해서 저자의 인터뷰를 접하곤 했습니다. 저자가 싱크탱크에서 주관하는 '건명원'이라는 학습 기관에서 과학과 인문학의 통섭을 가르친다는 것도 알게 되었구요.  저자는 인공지능(AI)과 뇌과학 분야의 빼어난 전문가이자 카이스트에서 교편을 잡으며 격의 없이 학생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를 통해 10대 시절부터 시작한 독서의 궤적을 보여줍니다.  책은 궁극적으로 질문의 힘을 강조합니다. 우리나라는 공학 기술력과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왜 우리는 노벨상을 타지 못하는 가 하는 질문도 곁들여 질 수 있겠네요 


뇌과학자인 김대식 교수는 책을 통해 질문을 던집니다. 다른 이들의 답에서 허우적거리기 보다는 질문 자체의 중요성과 본질을 추구합니다. 남들이 제시한 답에 집착하기보다는 새로운 질문을 찾고자 노력합니다. 그것이 더 큰 차원으로 자신을 이끌기 때문입니다. 본질을 꿰뚫는 시각을 갖기 위해서는 보다 깊게 생각해 보고 반대로 고민해 봐야 합니다. 이는 비단 과학자들만 사고하는 방식은 아닐 것입니다.  같은 책을 읽더라도 남들과 다른 시각에서 질문을 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아갈 때 우리는 본질을 꿰뚫는 시각을 갖게 될 것입니다. 


 "모든 진정한 과학과 철학과 종교의 기원은 질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질문이 아닌, 남들의 답에서 시작했다. 시작을 기억하지도 이해하지도 못하기에, 우리는 그 누구보다 주어진 답의 형식적 순결에만 집착한다. 공자보다 더 유교적이고, 마르크스보다 더 공산주의적인 믿음을 가지게 된다는 말이다."


저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준 세계는 책입니다. 저자가 소개하는 책들은 새로운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창고와 같습니다. 문학과 시, 역사학, 당대의 한계에 맞선 진리를 추구하는 자들. 김대식 교수가 평소에 추구하는 고학과 인문학의 통섭적 능력이 쉽게 길러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더 깊게 알게 되었습니다. 


"단 몇 분 만이라도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스마트폰, 불과 십 년 전엔 존재하지도 않았다. 칠십 년 전 일제 강점에서 해방되었을 당시엔 텔레비전도 세탁기도 없었고, 일반인이 자동차를 소유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하기 어려웠다. 어디 그뿐이랴. 300년 전엔 마취약도 항생제도 없이 염증 하나 때문에 임금이 죽고 왕자의 팔다리를 맨 정신에 절단해야 했다. 1만 년 전엔 도시도 길도 국가도 없었고, 10만 년 전 인류는 옷도 신발도 없이 매일 단지 그날 하루하루를 생존하기 위해 존재했을 뿐이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책의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책은 또 하나의 비밀을 가지고 있다. 바로 인간의 뇌가 몰입하기에 가장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책을 펴면 세상이 보이지 않는다. 눈은 글을 읽지만, 뇌는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낸다."



제가 이 책을 읽은 것도 뇌의 끌림인 덕일 것일까요?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갈 준비를 하는 데 길잡이로 나아갈 책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