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좀비를 만났다 - TED 과학자의 800일 추적기 지식여행자 시리즈 2
웨이드 데이비스 지음, 김학영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이후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좀비의 몇가지 규칙이 생겼다. 첫째, 좀비는 산 자를 잡아먹고 둘째, 좀비들끼리는 살상하지 않으며 셋째, 좀비를 죽이려면 머리를 공격해야 하고 넷째, 좀비는 전염된다, 등등이다. 본래 최초의 좀비는 사람의 목숨을 해치는 공포의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노예였다. 잔혹하게 사람들을 착취하고, 죽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불상한 자들이었다. 어느 순간부터 좀비는 공포의 대상으로 탈바꿈했다. 좀비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 개봉한 영화 <월드 워 Z>는 전세계적인 좀비 현상을 다룬다. 이 영화에서 북한은 좀비화를 막기위해 전체국민의 이빨을 다 뽑아 버리는 무시무시한 일을 벌인다. 사회과학 도서 <국제정치 이론과 좀비>는 전 세계적으로 좀비가 창궐 했을때, 국제정치이론에 근거에서 대응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미국 드라마 <워킹 데드>는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고, 곧 시즌 4가 시작된다. 좀비 영화 <28시간>후는 올해 마지막 편 <28주>후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이제는 공포의 대상을 넘어서, 좀비를 애증의 대상으로 다룬 <웜 바디스> 같은 영화도 나왔다. 바야흐로 좀비의 시대다.

캐나다 출신 민속식물학자인 저자는 하버드대에서 인류학을 공부했다. 저자는 1982년, 죽은 사람이 좀비로 되살아났다는 뉴스를 접하고 좀비의 고향 아이티로 간다. 저자는 좀비 독약에 주목하고 위험천만한 과정을 겪으며 독약 제조법을 입수하지만 좀비와 관련된 진실 추적은 간단치 않았다.

<나는 좀비를 만났다>는 최근 영화, 만화 등의 소재로 각황 받고 있는 좀비의 실체를 추적한다. 저자는 아이티에서 좀비를 만드는 비밀을 캐기 위해 비밀조직 의식에도 참여했다. 저자는 탐사를 통해서 독약을 사용해 좀비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이티 비밀조직에서는 다른 사람의 가족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다른 남자의 여자를 탐하는 행위 등에 한해 '좀비 처벌'을 가한다.

좀비 처벌은 매우 잔혹해 보일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는 서구중심주의라고 단호히 비판한다. 공동체 내의 합의된 제제라는 것이다. 그들이 보기엔 사형이 더 잔혹하고,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나는 좀비를 만났다>는 좀비의 기원을 설명하고, 교양적 시사점까지 던져준다. 이런 매력적인 도서를 만나서 반갑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