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 질문하고 토론하는 하브루타 교육의 기적
전성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마냥 아기인 내 아이가 성장하면서 내가 이 아이를 어떻게 이끌어 줄것인가라는 생각을 가지고 읽으려고 했어요.

한 마디로 교육쪽으로 궁금했었죠..

그런데 삶의 전반에 걸친 아이의 가르침에 있어서 잘 볼 수 있었답니다.

 

 

이 분이 이 책의 저자세요.

이 책을 쓰시게 된 계기처럼 보이는 부분이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처험하면서 한국 교육의 심각한 현실을 깨닫게 됐다고 하네요.

그 이후에 1000권에 이르는 자녀 교육 관련 서적들을 읽으셨고 한국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의 하나로 유대인 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이스라엘에 다녀왔으며 미국의 유대인 가정, 회당, 학교를 탐방했다고 해요.

 

 

그가 말하는 하브루타란 자녀의 성공과 가족의 행복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는 길이라네요.

자녀 교육 서적이라 알고 있는데 과연 어떻게 자녀를 구워삶으면 가족도 행복해 질 수 있을 지 궁금했어요.

 

 

구성이 상당이 알차보였어요.

궁금할만한 내용을 상당히 자세하게 분류해주셨어요.

 

유대인과 한국인의 교육열은 1, 2위를 다툰다는데 노벨상의 30%, 하버드의 30%는 유대인이라네요.

그러면서 유대인들의 교육철학을 엿볼 수 있었어요.

일단 그들은 아이에게 억지로 공부를 시키지않고 항상 질문을 통해 아이가 다각도로 생각하는 시간을 주므로써 다양한 분야에 걸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데요.

뭔가 확실히 다른 것 같았어요.

저희 엄마도 저 어릴 때 잘 놀고 있다가도 공부해야지라며 무작정 공부를 시키셨는데 맘에 안들어서 더 공부랑 멀어졌네요..;

 

 

우리의 교육을 보면 주입식이잖아요.

'이 문제의 답은 이거란다'라는 식으로 집이나 학교, 학원에서 가르치죠.

하지만 유대인들은 그들의 자녀에게 질문을 통해 각기 다른 답을 얻음으로써 접근해가게 만들더라구요.

 

 

아이가 어릴 때 장난감을 주지 통장은 선물로는 잘 안줄건데 유대인들은 자녀에게 통장을 선물로 주며 해마다 투자 경과만 보면서 그에 대한 조언을 하고 이야기만 들어준다네요.

이렇게 자란 아이들은 경제나 금융권의 인재로 성장한다네요.

이런 글을 보면서 막상 눈 앞의 아이가 좋아할 만한 걸 주는 것보다는 아이가 경제개념을 잘 잡아 크게 성장해나가는걸 보는게 좋은 것 같더라구요.

그렇다고 장난감을 아예 안주는게 아니라 이들처럼 통장을 뜻깊게 한번 사용해보자는 거죠.

 

 

얼마전 기사를 읽은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책을 권하지 않는 사회라면서 책 읽는 사람도 극히 드물고 서점마다 할인전쟁을 통해 책 값도 떨어지고 서점도 하나하나 망해가고 이런 악순환이 반복된다더라구요.

 

 

한국에서는 아이에게 책을 많이 보게하죠.

그런데 소아정신과에 가면 초독서증이라는 진단을 내린다니 충격적인데요.

아직 이해도가 떨어지는 아이들이 기계적으로 문자를 암기한다는데 참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몇 달전 케이블 TV에서 산부인과 전문의가 뱃속의 아기에게 똑똑해져라고 무작정 하루에 여러권 읽어준다는데 아기는 글을 이해못한다면서 엄마의 기분과 감정만 느낀다고하는 말을 들었어요.

이 말을 들을 때도 그렇구나라고 느꼈는데 저 말을 들으니 참 씁쓸한 현실이더라구요.

 

'만일 당신의 자녀가 옷과 책에 잉크를 쏟았거든 책을 먼저 닦고 나서 옷을 닦게 하라. 만일 지갑과 책을 동시에 땅에 떨어뜨렸으면 우선 책을 줍고 나서 지갑을 줍도록 하라'라고 임마누엘이 말했었죠?

그만큼 그들은 언제나 책이 우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책을 읽으면서도 항상 질문을 하더라구요.

그러면서 자녀의 상상력을 자극해주는데 아이의 머릿속에도 끝까지 깊이 자세히 남을 것 같더라구요.

 

우리는 공부를 가르치다 이러죠?

'우리 이거 다하고 놀자?'라고.

이 책에선 놀이와 공부를 분리했다는 점을 배움의 가장 큰 비극이라고 하더라구요.

저도 어릴 때 다 격어봄으로써 굉장히 공감이 가면서 보게 됐네요.

 

우리는 아이가 좀더 빨리 좀더 많이 배우기를 원하면서도 놀이 개념을 빼놀은 채 공부만을 강요하는데 아이들은 이럴수록 공부와 멀어진다는게 역시나 공감되더라구요.

호기심<지식<알아가는 즐거움에서 오늘날의 교육은 지식<호기심으로 바껴 아이들이 공부를 당연히 지루하고 재미없고 괴롭다고 여기는 것 같아 아쉽더라구요.

일단 한국에서는 이렇게 하는데 유대인들은 이런식으로 이렇게 한다라고 비교를 하며 설명을 해주시더라구요.

 

교육 책인줄로만 알았는데 삶의 전반적으로서 아이의 부모로서 아이를 코치해줄 수 있는 자녀 양육 교과서처럼 보였어요.

어느 정도로는 적당히 풀어가며 재밌게 키워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유대인들은 전반적으로 아이에게 어느 때나 질문을 통해 생각을 하게끔 만들더라구요.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질문을 많이 해라라고 말하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질문에 대한 이야기가 많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질문에 대해서는 굉장히 직접적으로 느껴서 이번기회를 통해 아이가 질문을 많이 해봐야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이따금 다시 한번 뒤돌아보는 계기가 됐고 가족의 소중함과 행복함 또한 아이를 좌지우지한다는 걸 깨달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