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즘어른의 부머 경제학 - 인구감소 시대, 새로운 부의 법칙
전영수 지음 / 라의눈 / 2025년 4월
평점 :
<#도서협찬>
✔️인구감소 시대, 새로운 부의 법칙
✔️1,700만 거대한 소비권력, 베이비부머의 소비트렌드
*갈 길이 바쁜데 쭈뼛대며 멈춰 서 있다.
한국사회의 현 상황을 묘사하면 딱 이 모습이다.
라고 저자는 이야기를 시작했다.
가장 큰 이유인즉 아마도 누구나 유추 가능한 그 이유. 얼추 정리하면 세 가지로 저성장, 재정난, 인구병(인구감소)을 꼽을 수 있다.
역대 최고의 불황인 시기, 인류 최초로 삼중고의 모델이 되고 있는 한국은 세계에서 집중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그 바쁘다는 일론 머스크도 한국의 저출산을 걱정한다. 그러나 저출생보다 세고 아픈 것은 초고령화라고. 한국은 24년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다. (한국은 인류 세계에 존재하지 않았던 역삼각형 인구 패턴을 가진 최초의 국가가 될 전망이다)
저자는 이 삼중고를 타계할 방책으로 #베이부머 세대를 내세우고 있다.
*#베이비부머세대_연간 출생아 수 80만 명대를 넘어선 1954년부터, 마지막으로 80만 명 선을 유지한 1982년생까지 해당.
새로 편입되는 고령화 집단이 70년대생이라는 것이 위기 속에서도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거대 규모에다 거대 자산 소유, 고학력에 IT 능력, 실행력과 모험심 등을 두루 갖춘 채 늙어가는 인류 최초의 시니어, 즉 요즘 어른이 앞으로의 한국의 희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비부머세대가 노동력과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거나, 그들의 소비 파워를 활용한다면 새로운 소비 시장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거라고.
(BTS 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1위를 못하는 나라, 임영웅의 팬덤이 BTS 팬덤을 이기는 이유가 바로 70년대 생의 자산력이라는 것.)
이런 베이비부머 세대의 트렌드를 겨냥해서 비스니스를 재편하라며 저자가 도출한 20개의 비즈니스 키워드는 피벗 전환(예로 들자면 아동학습지 회사가 고령자용 학습지를 출시해 성공을 거둠) 을 추진 중인 기업가들과 창업자들에게 희망이 되어줄 것이다.
💬장르소설과는 또 다른 심장 벌렁거림으로 한 페이지 넘길 때마다 현실의 문제점이 직접적으로 내 문제인 양 다가왔다. 거대 자산과 함께 노년층으로 진입한 70년대생들.. 나는 그 그룹에 끼일 수 없음에 더 슬펐나 보다.
그럼에도, 혹시 나와 내 가족이 창업자가 될 상황이 온다면 참고할 만한 조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