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그치는 타이밍 - 삶이 때로 쓸쓸하더라도
이애경 글.사진 / 허밍버드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눈물을 그치는 타이밍 - 이애경

 

작자이자 작사가인 이애경님의 신작에다가 제목에 이끌려 이 책을 보게 됐다.

생각보다 얇은 책은, 생각만큼 쉽게 읽혔다.

한 구절 한 구절이 내 이야기 같고, 네 이야기 같아서 보는 내내 달콤하고 씁씁했다. 아포카토처럼.


네가 무엇을 하든 용서될 때부터 사랑일까. 
조금만 서운하게 해도 네가 지독히 미울 때부터 사랑일까. 

술래에게 다가가던 걸음을 들켰을 뿐인데 
나는 그때부터
꼼작도 못하고, 아무 데도 가지 못하
그가 어떤 속도로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라 말하든 상관없이
그를 기다려야 하는 자리에 놓이게 되었다. 

 

이 책은 크게 사랑, 이별, 그리고 인생을 말한다.

짝사랑부터 시작해서, 불타는 열정을 가진 사랑... 그리고 결국 이별로 나아간다.

짝사랑은 해바라기에 비유하는 건 많이 봤지만, 무궁화 꽃에 비유를 하다니! 그녀의 기발함이 새롭다.

그렇다. 짝사랑을 하다가 들키면, 내가 먼저 사랑했고 내가 사랑하고 있는데 수동적이 되어버린다.

그가 결정을 내리기까지 어쩌면 얼음이 되어버린다. 내 마음만 가져가면 됐지, 내 멋대로 하던 사랑마저 가져가 버린다.

 

사랑은
올 때마다 매번 전염되는
변종 독감 같은 것인지,
방어할 수가 없고
앓을 때마다 아프다.

수학은 공식이라도 있지. 
사랑,
그 어려운 걸 왜들 하려고 하는지.

"사랑이 아프다. 감기처럼 "

내가 좋아하는 어느 가수의 노랫말처럼. 그래 사랑은 아프다. 마치 감기처럼 말이다.

예방 주사를 맞아도, 온 몸을 둘둘 감싸도, 어느새 나는 사랑에 아파하고 있다.

사랑에는 방어법도, 공식도, 답도 없다.

그렇게 갑작스레 사랑하게 되었다가 갑작스레 이별하게 된다.

이상하게 늘 아프다.

 

 

분명 모든 일에는 타이밍이라는 것이 있는데, 눈물을 그칠 타이밍은 언제인가...?

저자는 이 타이밍을 맞추기 쉽지 않다고 했지만,

나는 바로 그런 생각이 들었을 때 혹은 지금이라고 생각한다.

지금이 바로 그 타이밍이다. 이제 그만 울고 앞을 바라보아야 할 때.

그 때가 언제든 바로 지금.

 

 

봄... 이제 겨울이 지나면 다시금 봄이 온다.

내 인생의 봄은 언제나 올런지.

뭐 겨울이 지나도 세상이 끝나지 않으니..

언젠가는 분명 봄이 오겠지?

 

 

누구는 나에게 나이가 드는 중이라 했고,
누구는 나에게 철이 드는 중이라고 했다. 
그것이 나이는 철이든,
'든다'는 건,
사람이 들고 나듯이
무언가가 채워진다는 것. 
단풍에 물이 들고 빠지듯
다른 색깔이 입혀진다는 것.
햇볕이 잘 들듯
많은 것을 수용할 준비가 되었고,
밖으로 드러내도 부끄럽지 않은 나이가 되었다는 것. 

 식물이 자라듯이, 단풍이 들듯이, 계절이 바뀌듯이 나는 나이를 먹는다.

내가 보기엔 매일의 나는 자람도 없고, 그저 그 모습 그대로 인 것 같다.

그러나 어느 순간 깨닫는 건... 세상이 '어느새' 바뀌어간다는 것이다.

'응답하라'시리즈 드라마를 보면서 느낀 건, 나도 나이를 먹었다는 것, 그리고 지금도 먹고 있다는 것.

언젠간 이 글도 부족한 필력에 부끄러워하며 또는 감상에 젖어 볼 날도 오겠지.

그런 날은 분명히 올 것이라 믿으니, 오늘의 나도 어제의 나보다 성장했음을 믿어야 겠지.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누군가 그렇게 노래했다.

그러나 사랑만 변하는 게 아니라 아픔도 변하고, 외로움도 변한다.

시간은 놀라운 게 기억마저도 변하게 만든다.

아픈 기억에서 즐거웠던 추억으로.

지금 사랑한다고 평생 사랑하는 것은 아니듯,

지금 외롭다고 평생 외로운 것은 아니다.

 

슬픔에서 빠져나오는 건
의외로 간단할 수 있다. 

내가 해 온 건
사람들과 다른 선택이었지
틀린 선택은 아니었으니까. 

 

 

'가슴 두근거리는 삶을 살아라'

다른 사람은 무관심하게 지나쳐 가는 보물들.

그 보물은 어쩌면 내일, 어쩌면 오늘, 어쩌면 지금.


오늘 우리에게 주어지는 건
'오늘'을 살아갈 힘이다. 
오늘을 잘 견뎌 내면,
'내일'을 살아갈 힘은
내일 주어질 것이다. 

오늘을 살고 나면, 내일은 내일에게 맡겨버리는 현명함.

내일 뭐 할까를 고민하지마라.

내일이 되면 자연스레 알게 될 터이니.


달기만 한 인생은 없다. 
쓰기만 한 인생도 없다. 

인생은 아포가토. 
온기와 냉기가 공존하는
달콤 쌉쌀한 디저트 같은 것. 

그러니
주어지는 대로 감사하고 즐기는 것이
인생을 맛있게 사는 법. 

'좋은 게 좋은 것이다.' 어느새 내 입버릇이 되어 버린 말이다.
누가 그랬다. "넌 참 편하게 산다"고.

그리고 누구는 또 말했다. " 넌 참 착해."

난 착하지도 않고, 긍정적이지도 않다. 그러나 한 가지 아는 것은 그거다.

'좋은 게 좋은 거'는 거.

 

책을 읽으면서, 다 읽고나서 드는 생각은...

누군가의 블로그를 훔쳐본 기분이었다.

누군가를 사랑했고, 그로인해 아파봤고, 이별했고, 그리고 지금 오늘을 살고 있는 누군가의 블로그.

그녀의 블로그에 비밀글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