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집 짓다 시리즈 3
신현수 지음, 노준구 그림, 김태훈 감수 / 상상의집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웃음의 집, 눈물의 집, 도전의 집
사연 있는 세계 집은 다 모였다!

 

집은 우리 일상 속에 꼭 필요한 요소이지요.
의, 식, 주!! 우리가 살아가면서 반드시 필요한 3요소랍니다.

요즘 집은 매우 다양한 모습을 지니고 있으며, 그 기능도 다양하지요.
역사 속에서 집은 그 모습과 기능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우리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며 사회, 문화를 반영하고 있답니다.


상상의집 '이런 저런 집'을 통해 세계의 다양한 집을 만나면서
집이 갖고 있는 매우 다양한 기능과 모습을 만나 봅니다.

 

 

 

 

 

'이런 저런 집'은 일곱 개의 열쇠로 만나는 집 이야기를 만날 수 있어요.


생존을 위한 집, 자연환경에 맞춘 집, 신분의 상징! 화려한 집,
아픈 역사를 담은 집, 따로 또 함께 사는 집, 높이 더 높이 하늘 향해 솟은 집,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집, 이렇게 일곱까지 이야기를 풍부하게 만날 수 있답니다.

 

 

 

 

크리스마스이브, 집에 침입한 도둑을 피해 케빈은 산타의 눈썰매에 올라탔어요.
선물을 나눠 주는 산타를 따라 얼렁뚱땅 세계 집 구경이 시작됐지요.

고대 로마 집, 지금의 미국 집, 미래 집까지....
산타의 눈썰매는 시공간을 초월해요!
각양각색 세계 집에 담긴 사회, 문화, 역사를 알아보게 됩니다.

 

 

 

 

 

 

첫 번째 이야기, 생존을 위한 집

 

 

 

 

 

 

인류 최초의 집은 동굴이었지요. 바로 자연이 선물한 집이랍니다.
동굴에 있으면 눈비와 바람, 더위와 추위, 사나운 짐승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었지요.
또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해서 지내기에 참 좋았어요.
이렇게 생존을 위한 기본 집으로써 동굴은 그 기능을 무척 잘 수행했지요.
이 외에도 생존을 위한 집은 천막집, 움집, 흙벽돌집 등 다양하답니다.

 

 

 

 

 

 

두 번째로 자연환경에 맞춘 집을 알아 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연환경에 따라 다양한 의식주 형태를 보이지요.
이로 인해 자기들만의 문화를 만들기도 하고요.
집 또한 자연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이글루, 마사이족의 쇠똥집, 수상 가옥, 고상 가옥, 눈의 집, 해의 집, 흙집, 한옥 등은
모두 자연환경을 반영하여 만들어진 집이랍니다.

 

 

 

 

 

 

아이들이 쉽고 재미나게 읽을 수 있도록 문어체로 구성되어 있어요.
어렵지 않게 풍부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답니다.

 

 

 

 

 

 

챕터말에는 '생각해 볼 거리'를 통해 좀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전달하지요.
집을 주제로 풍부한 내용을 만날 수 있어 참 유익한 책이랍니다.

 

 

 

 

 

세 번째 이야기는 신분의 상징, 화려한 집이랍니다.

 

 

 

 

 

 

신분에 따라 사는 집이 다양한 모습을 띄었지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요.
로마 귀족의 호화로운 집, 이탈리아 상인의 집에 대한 욕심, 조선의 99칸 기와집,
왕이나 황제가 살던 궁전 혹은 궁궐 등을 통해 세계사와 한국사 속에서 생활사를 엿볼 수 있어요.

 

 

 

 

 

 

네 번째 이야기는 아픈 역사를 담은 집이랍니다.

 



 

 

 

 

 

잉카인의 눈물에 띄운 집, 이슬람교 박해를 피해 기독교인들이 숨어살던 카파도키아의 동굴집,
세금 때문에 지었다 부쉈다를 반복해야 했던 하얀 집 트룰로, 일제강점기 시대 양옥 등은
아픈 역사를 담은 슬픈 집이랍니다.

 

 

 

 

 

 

다섯 번째 이야기는 따로 또 함께 사는 집 이야기입니다.

 

 

 

 

 

 

공동 주책은 한 건물 안에서 여러 세대가 땅, 복도, 계단, 시설 등을 함께 사용하면서도
서로 독립된 생활을 할 수 있게 지은 집을 말하지요.
아파트와 연립 주택, 다세대 주택이 바로 공동 주택이랍니다.
공동 주택의 뿌리를 찾으려면 로마 제국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야 하지요.
로마 제국은 인구가 급증하면서 부자 귀족들이 여러 세대가 살 수 있는 집을 지어
세를 놓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바로 최초의 공동 주택 '인슐라' 랍니다.

중국의 하카족이 모여사는 투러우, 영국의 노동자들이 모여 살던 집 로우 하우스,
한국의 아파트, 다양한 세계의 빌라 등이 공동 주택이랍니다.

 

 

 

 

 

 

 

여섯 번째 이야기는 높이 더 높이, 하늘 향해 솟은 집 이야기에요.

 

 

 

 

 

 

 

바빌로의 바벨탑은 하늘 높이 올라가려는 인류의 욕망을 상징하는 탑이지요.
바벨탑 이야기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인류는 오랜 옛날부터
하늘에 가까이 다가가고 싶어 했고 그래서 높이, 더 높이 건축물을 쌓아올리려고 노력했답니다.
롯데타워처럼 세계에는 다양한 고층 빌딩이 세워지고 있고,
사람들은 더 높은 고층 빌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
한국의 아파트 또한 점점 그 높이를 더해가고 있답니다.

 



 

 

 

 

 

 

일곱 번째 이야기는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집입니다.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집 또한 친환경적인 설계를 더하고 있어요.
화학 에너지 대신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전원 주택 등을 통해 느리게 사는 삶의 행복을 느끼려고 노력하기도 하지요.
더불어 1인 가족이 늘어 나면서 최소형 집도 다양한 형태로 늘어나고 있답니다.

 

 

 

 

 

 

 

집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가족과 함께 사는 소중한 보금자리입니다.
역사 속 다양한 집을 만나보았지만, 그 모든 것의
가장 기본은 바로 가족을 위한 보금자리라는 거지요.

 

 

 

 

상상의집 짓다 시리즈3 '이런 저런 집'은
집에 대해 그동안 생각했던 인식을 확산할 수 있는 책이랍니다.

집 속에 담긴 역사, 문화, 사회 등 폭넓은 내용을 만나면서
풍부하게 알찬 책읽기를 할 수 있어요.


이를 통해 아이는 세상을 보는 시야를 넓히고
생각을 새롭게 지을 수 있게 된답니다.

상상의집 신간 '이런 저런 집'
우리 아이의 생각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꼭 읽힐 참 좋은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