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눈에는 희망만 보였다 - 장애를 축복으로 만든 사람 강영우 박사 유고작
강영우 지음 / 두란노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강영우 박사가 시력을 잃기 전, 잃은 후의 인생을 담은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겪어보지 못한 것들로 가득했다.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관점이라서 갸우뚱하게 만드는 부분들도 있었지만, 장애를 겪고 그것을 축복이라 생각한 강영우 박사를 보며 나는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장애인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만 가지던 나는 책에 등장하는 강영우 박사의 조카를 보며 부끄러움을 느꼈다. 책의 내용 중 강영우의 조카는 강영우가 이민 가방을 번쩍 드는 것을 보고, “장애는 아무것도 아니다. 큰아빠는 맹인이지만 대단 한사람이다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또 조카는 지하철에서 자신의 아이가 자폐아 진단을 받은 한 엄마의 전화통화 내용을 들었다. 통화하는 상대는 그 엄마에게 미국으로 가, 미국은 장애인의 천국이야라고 했다. 그 소리에 화가 난 조카는 집에 와서 그 말의 잘못된 점을 집으며 이야기한다. “미국은 상대적으로 복지가 잘 되어 있는 나라이지 이민이 정답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책을 바꾸고, 노력하면 되는데 노력을 하지 않는다.”라고 한다. 그 말이 맞았다. 나라부터 시작해서 나까지도 행동에 변화를 주고 바꾸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장애에 관련한 나의 자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준 부분이었다. 이 책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좌절을 막고 미래에 대한 희망과 노력을 갖도록 한다. 비장애인들에게는 어려움을 이겨내며 더 큰 도전을 바라고, 장애에 대한 개선에도 힘쓰기를 바란다. 이 책을 읽고 나는 내 앞에 놓인 어려움과 고통이 축복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하고 지금 이 순간에 부정하지 않고 더 많은 노력과 희망을 가질 것이다. 눈이 보이지만 눈이 보인다고 해서 그 뒤에 가려진 더 많은 것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체 불만족
오토다케 히로타다 지음, 전경빈 옮김 / 창해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선천성 사지절단증으로 장애인으로 태어난 오토다케 히로타나. 부족함 없이 태어나 부족함 없이 살아온 나는 정상인 임에도 불구하고 오토다케 히로타나처럼 도전적으로 공부하고 살아가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 같다. 적당히 공부하고 적당히 운동하고 이게 나의 장점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을 읽고 장애를 가진 분들께는 희망이 나에게는 감동적인 부분이 많다. 주위에 도와주는 사람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오토다케는 있었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악조건 속에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장애를 딛고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은 다른 아이들과 똑같은 장소에서 크도록 엄청 노력하신 부모님과 선생님일 것이다. 그 중 어머님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오토다케의 어머니는 출산 후 팔다리가 없는 아들을 보며 어머 우리 예쁜 아기라고 했다. 모든 어머니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은 똑같지만,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를 보면 대부분의 사람은 놀라 힘들어할 것이라 생각했다. 이 부분에서 다른 부모님과는 다르고 참 멋진 분이라고 생각한다. 태어나며 어머 우리 예쁜 아기라고 들은 오토다케는 어머니의 기쁨, 사랑을 받고 태어났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큰 것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다카기선생님은 너무 심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1학년에서 4학년까지 지도내용을 10권의 일기로 남겼다는 것에 마음속 깊이 오토다케의 자립심을 키워주려는 마음이 느껴진다. 나도 긍정적으로 사랑을 주는 사람, 미래에 대한 절실함을 가진 사람이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