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언젠가부터, 아니 정확히 얘기하자.
요시다 슈이치의 <퍼레이드>에 대한 작가의 평을 읽은 이후 그녀가 궁금했더랬다. 이후 그녀가 신문에 연재했던 글들을 찾아 읽고 기어이 그녀의 <낭만적 사랑과 사회>를 읽고난 후부터 난 그녀의 팬이 되기로 했다. 그냥, 정이현의 젊은 시선이, 젊은 생각이 좋았다.
<달콤한 나의 도시>의 오은수를 그저 소설의 주인공으로만 볼 수 없었던 건, 비단 나뿐이 아니었을 거라고 믿는다. 한국이라는 나라, 그것도 아무 맛도 없는 서울이라는 도시에서 살아가는 30을 넘은 '노'처자에게 이 소설은 이미 픽션이 아니다.
화려한 구두를 신고 싶어하면서도 결국 아무 무늬 없는 검은 구두를 사서 신고, 겉으로 의사를 표현하기보다 마음속에서 더 대화가 많은, 확 다 뒤집어 엎고 싶어도 끝내 제도를 거스를 용기는 없는 오은수는 그대로 나의 모습이었다. 늙은 인어공주가 되어 있는.
결혼이라는 불구덩이에 들어가기에는 이미 부모님의 그늘이 편하다는 걸 눈치 챈지 오래됐고, 한편 그렇게 평생 살아가자니 '남편 없는 여자'들이 겪어야할 설움의 레퍼토리도 훤히 꿰고 있어 불안하기도 하다. 스스로 막중한 책임감이 기다리고 있는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기도 싫고, 그렇다고 사회에서 무시당하는 입장에 서고 싶지도 않고.. 딱 '자발적 미성년'이어왔던 오은수 자체.
그러기에 이 소설은 남얘기가 아니었다. 나는 은수처럼 태오가 좁은 싱글 침대가 있는 방에 상주하는 것이 불편했고, 유준이 농담처럼 뱉은 결혼하자는 말에 살짝 흔들렸으며, 어딘가 마음이 썩 내키지 않았으면서도 '정상적 인생의 알리바이' 가 되어줄 영수를 영 거부할 수 없었다.
서른 잔치를 넘긴 미혼자들에게 적극 권하고 싶은 책이다. 답을 제시해주진 않지만 적어도 나만 '자발적 미성년', '늙은 인어공주'가 아니라는 사실에 작은 위로는 받을 수 있다.(씁쓸하지만.)
남과 다르면 어때? 당당하게 말하며 살지만 때론, 남과 다르지 않다는 게 위로가 되기도 한다. 그 '다름'이 겁이 나서 다들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려 하는지도 모르겠다.